“개인정보 침해 우려 89%”…생성형 AI 확산에 불안감 뚜렷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대중 생활로 확장되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9명에 달하는 비율이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시장과 규제 당국 모두에게 데이터 보호 및 신뢰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이용 일상화에 따라 개인정보, 직업 안정성, 편리함 등 복합적 요소들이 사회 전반의 심리와 정책 결정에 직접 영향을 줄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20~60대 성인 중 생성형 AI를 사전에 인지한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AI가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를 침해할까 걱정된다’는 질문에 88.7%에 달하는 응답자가 동의했다. 이 가운데 ‘매우 동의’ 41.8%, ‘약간 동의’ 46.9%로, 사회적 거리와 무관하게 ‘일반 국민’, ‘자신’, ‘주변인’ 모두에서 비슷한 불안감이 확인됐다. AI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느끼는 불안 경험 역시 68%로 조사됐다. 아울러 ‘AI로 대체되는 직업·업무에 대한 우려’ 응답은 87.2%에 달했으며, 자신이 AI에 직접 대체되는 비율(62.9%)보다 가족이나 친구 등 주변(72.8%)이나 일반인(90.2%)에 대해 더 강한 불안을 표했다.

기술적 불안과 함께 현실적 효용성도 유지되는 양상이다. ‘AI가 주는 편리함’이 ‘AI로 인한 불안함’보다 더 크게 느껴진다는 응답이 39.8%였으나, ‘양쪽이 비슷하다’가 43.3%로 최고치를 기록해 긍정과 부정 인식이 현장에서 동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뉴스 생산 현장에서도 AI 활용에 신중한 태도가 읽힌다. 팩트체크 도구 등 AI 기반 사실 검증 기사에 대해 64.5%가 기사로 인정하겠다고 답했고, 기사 초안(52.6%)이나 기사 자동작성(51.9%) 도구에도 과반의 수용 태도를 보여 ‘신뢰성 확보’ 전제가 중요 지표로 대두됐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개인정보 침해와 직업 대체 불안이 뚜렷한 가운데, 생성형 AI의 산업적 확산에 맞춘 정책적 안전장치와 투명성 강화 요구도 함께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대해 데이터 보호·AI 거버넌스, 알고리즘 책임성 등 규제 환경 변화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유럽은 이미 데이터 보호법과 AI 책임법 제정 논의를 가속하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AI 신뢰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하면 산업 전반의 수용성 저하, 사회 불안 심화와 같은 부정적 파급효과도 커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산업계는 이번 조사에 대해 “초고속 AI 혁신에 맞춘 국민 신뢰, 제도 확립이 기술 상용화 이후 시장 확대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술과 윤리, 산업과 제도 간 균형이 새로운 성장의 조건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