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부터 새 친구탭까지”…카카오톡 개편에 AI 플랫폼 진화
카카오톡이 인공지능(AI) 챗봇을 비롯해 사용자 경험 전반을 전면적으로 개편하며 모바일 메신저 산업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새롭게 선보일 카카오톡에는 대화방 폴더, 보이스톡 AI 요약, 피드형 친구탭, 최신 챗GPT 기능 등 여러 혁신 요소가 대거 도입된다. 업계는 이번 업데이트를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진화 경쟁’의 본격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카카오톡 개편안은 23일 경기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정식 발표됐다. 핵심은 채팅탭에 최대 10개의 폴더를 만들어 가족, 친구, 업무 등 목적별로 최대 100개의 채팅방을 구분할 수 있는 구조다. 보낸 메시지는 24시간 내 수정이 가능하며, 변경된 메시지에는 ‘수정됨’ 표시가 붙어 투명성을 높였다. 연내 도입 예정인 읽지 않은 메시지 미리보기나, 채팅방 인터페이스 개선 역시 사용성에 무게를 뒀다.

기술적으로 주목받는 변화는 AI를 활용한 보이스톡 녹음·텍스트 변환·요약 기능이다. 단말기 종류나 통신사와 무관하게 음성 통화를 자동 녹음하고, 이를 카카오AI가 요약·검색할 수 있게 지원한다. 친구탭은 인스타그램식 피드 UI로 전환, 프로필 변경이나 게시물을 타임라인 기반으로 제공한다.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역시 병행했다.
특히 다음 달부터 챗GPT 기능이 카카오톡 내에 내장된다. 별도 앱 설치 없이 챗GPT 최신 버전(GPT-5)의 텍스트·이미지 처리, 파일 분석, 이미지 생성 등 확장 기능을 지원한다. 오픈AI의 강력한 AI 모델이 메신저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구동되는 구조다. 이는 메시지 자동화나 대화 맥락 지원 등에서 기존 메신저 대비 차별적 실효성을 예고한다.
시장 반응은 엇갈린다. 챗GPT 도입엔 “실질적 업무 활용이 가능하다”는 긍정 평가가 많지만, 피드형 친구탭 등 일부 개편에는 “불필요한 변동”이라는 사용자 불만도 적지 않다. 그러나 카카오는 행동 데이터와 고객센터 접수 이슈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업데이트 방향에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주요 플랫폼 역시 메신저 내 AI 통합 및 개인화 서비스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 메타, 중국 텐센트 등도 유사한 ‘초개인화’ 메신저 전략을 가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변화가 향후 국내외 시장 확대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정보 보호·AI 활용 규제 등 현행 제도 내에서 챗GPT와 같은 최신 AI 기능이 메신저에 적용되는 사례는 국내가 처음이다. 데이터 저장과 접근 관련 윤리, 사용자 동의 체계 강화 역시 주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폰트 하나만 달라져도 불편하다는 의견이 나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자유롭고 편리한 대화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용자 실제 행동과 피드백을 서비스 개선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카카오톡 개편이 메신저 플랫폼의 진정한 AI화, 일상생활 속 활용도 진화를 이끌지 주시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