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가뭄에 재난사태 선포”…이재명 대통령, 국가소방동원령까지 긴급 지시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는 강원도 강릉을 중심으로 정부와 지역 사회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8월 30일 강릉 현장을 찾아 지역 가뭄 대응책을 점검하며, “강릉 일원에 즉각적인 재난사태를 선포하라”고 공식 지시했다.
이번 조치는 강릉시의 생활용수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이날 오후 이재명 대통령은 강릉 지역 주요 수원지인 오봉저수지를 방문한 뒤 직접 주재한 가뭄 대책회의에서 강유정 대변인을 통해 “관계부처에 신속하고도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가뭄 피해 최소화와 주민 안전을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을 내려 소방 탱크 차량 50대가 투입, 하루 2천톤의 물을 추가 공급하도록 지시했다. 아울러 “정부가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라”며 “여유가 있는 전국 지자체들도 공동체의식을 갖고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정부 움직임에 대해 행정안전부는 같은 날 오후 7시부터 강릉시 일원에 재난 사태를 공식 선포한다고 담화문을 냈다. 행정안전부는 “범정부 차원의 총력대응 체계를 가동한다”며 긴급 인력 및 물자 지원, 응급조치 시행, 공무원 비상소집 등 대응에 나설 방침임을 설명했다.
야당 일각에서는 정부 대처가 뒤늦었다는 주장과 함께 전국적인 물 부족 사태에 대한 장기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편 일부 여당 의원들은 “선제적인 현장 점검과 국가차원의 피해 대응이 적시 이뤄진 것”이라는 평가를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올해 6개월 강원권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에 머무르고 있어 근본적인 공급망 개편과 시민참여형 물 절약 운동이 병행돼야 한다고 짚었다.
재난사태 선포로 인해 피해 지역에는 공공·민간 부문 인력, 장비, 물자 동원 등 다각적 지원이 곧바로 이뤄질 전망이다. 정치권과 정부 모두 전국적 가뭄 장기화에 대응할 종합대책 마련을 두고 치열한 논의를 이어가는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추가 지원과 현장 대응 방안 점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