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 전기차 화재 장기화”…메르세데스-벤츠, 피해 보상 방안 재검토→갈등 심화
2024년 8월 인천 청라국제도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가 1년을 넘기며, 피해 입주민과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간의 보상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최근 피해 입주민 40여 명으로 구성된 피해대책위원회는 벤츠 측의 대여 차량 만기와 함께 추가 보상책을 공식적으로 요구하며, 집회를 통해 그 목소리를 사회적으로 표출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아파트 주민들의 이동권이 심각하게 제약되었고, 차량 87대가 전소되는가 하면, 783대가 그을음 피해를 입었으며, 지하설비 및 배관 손상으로 광범위한 정전과 단수 사태가 생겼다. 벤츠 코리아는 사고 직후 피해 주민 126명에게 2024년식 벤츠 E200 차량을 1년간 대여해주고, 45억 원을 기부했으나, 대여 기간 종료와 함께 차량의 회수가 추진되면서 추가적인 보상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대책위 측은 과실 여부 판단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방적인 차량 회수는 부당하다며, 대여 연장 및 주거·차량 피해에 대한 위자료 등을 주장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기차 대중화에 따라 이와 같은 대형 화재 사건에서의 제조사 책임과 피해자 구제 방식이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편, 벤츠 코리아는 사법적 책임 소재와 보험 조사가 병행되는 과정에서 법적·도덕적 책임의 선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및 사회 각계에서는 사고 장기화에 따라 지자체와 정부, 자동차 업계가 긴밀하게 협력해 향후 피해보상 기준과 프로토콜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러한 논의가 전기차 안전에 대한 신뢰 회복과 사회적 합의로 이어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