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된 총사퇴 논의에 비판 확산”…광주시의회 예결위원, 간담회 끝내 5명 사퇴 전망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위원 선임과 위원장 선출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을 수습하기 위해 총사퇴 논의에 나섰으나, 끝내 분열된 모습을 벗지 못하고 있다. 예결위원 일부는 논란에 책임을 진다며 스스로 사퇴를 결정했지만, 다른 일부는 사퇴에 반대하거나 입장을 유보하면서 광주시의회가 자정능력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30일 오전,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 9인은 간담회를 진행하며 논란에 대한 총사퇴 여부를 논의했다. 그러나 “책임지고 사과하려면 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무책임하게 사퇴하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라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며 총의 도출에 실패했다. 결국 예결위원들은 각자 사퇴 여부를 개별 판단하기로 했다.

이날 강수훈 의원과 채은지 의원은 의회에 사퇴서를 제출했다. 또한 정무창, 박미정, 정다은 의원도 상임위원장과 상의를 전제로 사퇴 의사와 제출 계획을 밝히면서 최소 5명 예결위원의 사퇴가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나머지 4명의 예결위원은 사퇴에 반대하거나 공식 입장을 유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민사회 역시 강경한 비판을 쏟아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박미경 대표는 “총사퇴 논의를 두고 다시 분열된 모습을 노출하는 것은 의회가 자정 능력이 없고,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보여준다”며 “시민이나 유권자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 보인다”고 직격했다.
이번 사태의 배경에는 지난해 민주당 차원의 예결위원장 내정 문제와, 위원 선임 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갈등이 뿌리 깊게 작용했다. 민주당은 다수의석을 점하고 있음에도 무소속 심창욱 의원을 예결위원장에, 국민의힘 의원을 부위원장에 선출해 내부 ‘해당 행위’ 논란이 일어났다. 이에 민주당 광주시당은 위원 선임‧위원장 호선에 참여한 당 소속 시의원 10명을 윤리심판원에 회부했다.
한편, 예결위원장 심창욱 의원이 100억 원대 비상장 주식의 백지신탁 미이행 문제로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예결위원장과 위원직 수행의 지속성에도 의문이 제기됐다. 여기에 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 역시 일부 의원의 반윤리 행위 전력을 문제 삼으며, 관련 의원 3명 중 일부가 이미 사퇴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의회는 예결위원 총사퇴 논의가 결렬되고 일부 의원만 개별 사퇴로 가닥을 잡음에 따라, 내부 신뢰와 시민사회의 비판이라는 이중의 공방에 놓이게 됐다. 민주당 내 갈등과 함께 의회의 책임과 자정작용에 대한 여론의 시험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