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화재 복구 총력”…윤호중,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시사

허준호 기자
입력

지난달 대규모 화재로 피해를 입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가 정보 시스템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8일 대전 본원 현장을 방문해 서비스가 중단된 전산망 복구 진행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전체 647개 정보 시스템 중 소실된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와 민간 클라우드(PPP) 영역으로 이관해 분산 복구하는 전략이 추진된다. 분진 피해를 입은 나머지 시스템도 단계별로 대전센터 내 전산실을 활용해 가동될 예정이다.

 

이번 사고는 공공 IT인프라의 실시간 백업과 이중화, 그리고 클라우드 분산의 필요성을 부각하며 산업 전체에 적지 않은 파장을 주고 있다. 정부는 현장에 220명의 공무원과 574명의 협력업체 직원, 160명의 분진제거 전문가 등 총 960명을 투입해 복구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윤 장관은 현장 점검과 동시에 복구계획 보고를 받으며, 신속한 시스템 정상화에 필요한 자원 확보와 안정 운영 방안을 모두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복구 과정에서 민간 클라우드와 공공센터를 병행 활용해 업무 연속성을 유지하는 절차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전산망 장애가 장기화될 경우, 업무 공백 최소화뿐만 아니라 향후 정부 클라우드 중심 인프라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주요국에서도 정부 데이터센터의 클라우드 이전과 이중 백업 체계 도입이 이미 확산되고 있다. 미국, 일본 등은 주요 행정시스템의 복구 가이드라인으로 ‘멀티 클라우드’와 ‘물리적 분산 저장’을 요구하는 추세다.

 

반면, 국내에서는 고도의 정보보안과 맞물린 통제 이슈, 거버넌스 및 예산 문제로 국가 전산자원의 완전한 클라우드 전환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번 화재는 재난 대응 체계 강화와 클라우드 활용 확대 모두가 병행돼야 함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데이터 완전성, 장애 복구 속도 확보와 함께 연휴·야간 근무 등 공공 IT 운영 인력의 근무여건 개선이 필수라고 설명한다.

 

윤 장관은 “모든 자원을 투입해 시스템 완전 정상화와 재발 방지에 집중하고 있다”며 “직원 업무 부담 경감을 위한 실질적 지원책도 동반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8일 기준 복구된 시스템은 전체의 25.5%에 그친 것으로 집계된다. 산업계는 대규모 공공 IT 인프라의 고도화와 인력운영 체질 개선이 실제로 이뤄질지 주목하고 있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호중#국가정보자원관리원#공공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