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글로벌 AI 현장서 혁신전략 모색”…두산, 아마존·엔비디아 협력 타진
경제

“글로벌 AI 현장서 혁신전략 모색”…두산, 아마존·엔비디아 협력 타진

송다인 기자
입력

두산그룹이 글로벌 AI 선도기업 현장 방문을 통해 산업용 인공지능(AI) 혁신 전략 구상에 돌입했다. 22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를 찾은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과 주요 계열사 경영진은 아마존, 엔비디아 등 빅테크와의 협력 확대 및 AI 전략 수립에 집중하며 미래 경쟁력 제고에 시동을 걸었다.

 

두산은 첫 일정으로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찾아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와 물류창고 자동화 등 미래형 생산 시스템을 직접 점검했다. 클라우드 AI 도구를 비롯한 다양한 솔루션의 현장 적용 사례를 분석하며, 그룹 전반의 AI 도입 전략과 제조 부문의 생산성 혁신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출처=두산
출처=두산

이후 엔비디아 본사를 방문한 두산 경영진은 GPU 기반의 차세대 AI 기술과 산업형 피지컬AI, 에이전틱AI 등 핵심 기술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다. 피지컬AI는 실제 로봇이나 기계에 AI를 적용해 스스로 판단·행동하도록 하는 기술로, 두산그룹은 이를 에너지·건설기계 등 주력 산업 현장에 접목할 계획이다. 그룹 차원의 AI 확장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업계 평가가 이어졌다.

 

두산은 스탠포드대학교 AI연구소(HAI)를 방문해 공동 연구와 산학협력 강화에도 나섰다. 현지 연구진과 AI-로보틱스 접목 방안, 전통 제조업 혁신 전략 등을 논의하며 글로벌 산학 연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두산의 이 같은 행보가 본격적인 산업 AI 시대를 앞두고 국내외 제조·로봇 기업의 경쟁 구도에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기업 중심의 산업형 피지컬AI 도입 확산이 향후 제조업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역시 AI 기반 산업전환 촉진을 위해 연구개발 및 산학협력 강화를 추진 중이다.

 

박지원 부회장은 “활용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AI를 접목해야 경쟁에서 앞설 수 있다”며, AI 혁신 속도를 강조했다. 이번 현장 실사는 전통 제조업 기반의 두산그룹이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기반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나서는 신호탄으로 해석되고 있다.

 

두산의 이번 글로벌 AI 전략 행보에 따라 향후 한국 제조업과 로봇산업의 기술혁신 경쟁이 한층 가속화될 가능성이 주목된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두산#아마존#엔비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