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인공지능 역량 총결집”…하정우, 첫 국가 CAIO로 임명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AI) 행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18일, 최초로 인공지능책임관(CAIO) 협의회 출범을 공식화하며 각 부·처·청의 AI 전담 책임체계를 제도화한 것이다. 핵심에는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국가 CAIO에 임명되며, 부처간 AI 정책 조율과 데이터 기반 행정의 최전선에 섰다. 업계는 이번 협의회 출범을 ‘범정부 AI 경쟁력 도약의 분기점’으로 지목하고 있다.
국가 CAIO와 협의회 제1차 회의는 서울스퀘어에서 개최됐다. 본 협의회는 48개 부·처·청이 각각의 인공지능 책임관을 지정, 장관급 기관은 차관급, 차관급 기관은 실장급이 CAIO를 맡게 하면서 조직 내 역량 결집에 나선 점이 특징이다. 추가적으로 지방자치단체 등 전국 단위 AI 책임조직 확대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각 부처 CAIO는 AI 전략 수립, 이행 점검, 행정 내 모든 AI 활용의 총책임자로 데이터기반행정책임관(CDO) 역할까지 아우른다. 반면 국가 CAIO는 모든 부처 책임관을 관장하며, 국가적 차원의 정책 연계와 실행 점검을 총괄한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부처간 AI 및 데이터 규제, 효과적 예산 편성, 범부처 협업사업 발굴 등 실무적 협업 틀이 논의됐다.
이 같은 움직임은 그간 부처 단위로 추진돼온 AI 사업, 데이터 개방이 제한적이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실질적으로 AI 정책 실행력이 부처단위에서 동시에 작동하면, 의료, 행정, 복지, 산업 등 다양한 IT·바이오 융합영역에서 AI 활용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 CAIO 체계는 미국과 유럽 등 기존 디지털 정책 선진국들의 중앙집중형 AI 행정부 모델과 유사한 구조다. 글로벌 경쟁 차원에서 각국은 AI 사일로(silo) 해소, 데이터 연계 가이드라인 마련, AI·데이터 윤리 구축을 위한 조직개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 역시 이번 협의회 출범으로 조직 간 기술·데이터 협업 기반을 강화하게 됐다.
AI 전환 속도에 따른 법제화, 데이터·AI 규제 현안, 실효적 책임성(책임소재) 부여 등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는 협의회를 월 1회 정례화하고, 논의 의제에 따라 AI 전략위원회 분과위원들의 참여도 확대할 계획이다.
하정우 국가 CAIO는 “협의회 의장으로서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책임관 협의회가 실제 AI 정책의 현장 적용력을 높일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