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AI 집약한 폴더블 시대”…삼성, 갤럭시Z7로 업계 혁신 견인
삼성전자가 차세대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전면에 내세우며, 모바일 인공지능(AI) 혁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9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현장에는 1200여 명이 모여, 삼성의 발표에 산업계 이목이 집중됐다. 업계는 신제품이 대중화된 모바일 AI와 접목, 글로벌 폴더블 시장의 판도를 변화시킬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공식 석상에서 “AI가 강력한 모바일 기술과 결합되며 혁신이 정점에 다다랐다”며 신제품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갤럭시 AI가 이제 텍스트 입력 기반 이해에서 멀티모달(영상·음성·텍스트 등 복합적 맥락 인지)로 진화했다”며, 사용자 일상에 창작·연결·경험을 한 단계 높여줄 ‘인간과 같은 AI 동반자’임을 부각했다.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맞물린 ‘울트라 경험’을 신제품 전체로 확장했다.

가장 두드러진 기술혁신은 Z 폴드7·플립7에 집약된 자체개발 AI 기능이다. 구글과의 협업 결과 ‘제미나이’ 생성형 AI 모델이 탑재되었으며, 플립7은 삼성 폴더블 최초로 자체 설계한 엑시노스2500 칩셋 적용으로 성능까지 크게 끌어올렸다. 리크 오스터로 구글 플랫폼·디바이스 부사장은 “구글의 서클투서치가 이미 수억대 갤럭시에 탑재됐고, 앞으로 다양한 제미나이 기능이 폴더블 신제품에 기본 적용될 것”이라 밝혀 업계 협력체계 강화도 시사했다.
제품 설계·구조 역시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COO는 “부품·소재를 아예 새롭게 설계한 만큼 두께는 얇아지고 내구성은 개선됐다”며, 기존 폴더블 대비 휴대성과 성능, 그리고 가격경쟁력을 모두 끌어올렸다고 전했다. 플립7은 AI 기능과 자체 칩셋의 결합으로 전력 효율과 실행 속도가 향상됐다.
이번 신제품 출시로 글로벌 폴더블 시장의 경쟁도 가속된다. 미국, 중국, 유럽 빅테크들은 AI 플랫폼 중심의 스마트폰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구글의 제미나이, 애플 SIRI·온디바이스AI, 화웨이 Pura 등 글로벌 거대 IT업체들도 맞불을 놓고 있다.
AI 기반 신기능 확대에 따라 데이터 보안 등 제도적 과제도 부상했다. AI 데이터 처리·저장, 개인정보 전송에 대한 신기술 검증, 패치 등 인증 절차가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미국·EU 등 주요 시장에서 모바일AI 활용 데이터 규정의 준수 또한 확대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신제품 상용화가 폴더블·AI 융합 혁신의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한 IT 컨설팅 기업 연구원은 “삼성의 하드웨어+AI 전략이 실사용 경험을 얼마나 빠르게 바꿀 지 주목된다”고 평했다. 산업계는 이번 신기술이 실질적인 시장 확장으로 이어질 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