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3성 장군 물갈이”…국방부, 군 인사 대폭 교체로 군심 다잡기
군심 재편을 놓고 국방부와 군 수뇌부가 정면으로 맞섰다. 13일 단행된 대규모 중장 진급 인사로 군 지휘 체계가 다시 한 번 대대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게 됐다. ‘12·3 비상계엄’ 논란 이후 불거진 군 내 혼란을 수습하고, 조직 전열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인적 쇄신의 기류가 강했다.
국방부는 이날 중장 진급 및 보직 인사를 발표했다. 지난 10년 내 최대 규모인 20명이 소장에서 중장으로 승진했으며, 이들은 육군 14명, 해군 3명, 공군 3명 등 각 군 다양한 지휘 보직에 배치됐다.

특히 육군에서는 한기성, 정유수, 이상렬, 이일용, 최성진, 이임수가 나란히 중장으로 진급하며 군단장에 임명됐다. 박성제는 특수전사령관, 어창준은 수도방위사령관이라는 중책을 각각 맡았고, 권혁동은 미사일전략사령관, 강관범은 교육사령관에 올랐다. 더불어 박춘식(군수사령관), 최장식(육군참모차장), 강현우(합참 작전본부장), 김종묵(지작사 참모장)도 중장 보직을 받았다.
해군에선 곽광섭이 해군참모차장, 박규백이 해군사관학교장, 강동구가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에 임명됐다. 공군은 권영민이 교육사령관, 김준호가 국방정보본부장, 구상모가 합참 군사지원본부장으로 각각 자리를 옮겼다.
군 안팎에서는 ‘12·3 비상계엄’ 등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중장 자리가 교체 대상이 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국방부는 이들을 정원 외로 처리해 후임 중장 인선을 마쳤다.
정치권은 이번 군 인사 폭이 지난 9월 1일 이재명 정부 첫 군 수뇌부(합참의장과 육·해·공군참모총장 등 7개 4성 장군 자리) 대거 교체에 이어 후속 쇄신 흐름의 연장선이라 평가하고 있다. 당시는 3성 장군 7명이 동시에 4성 진급에 오르며 군 수뇌부가 대대적으로 재편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인사를 통한 조직 안정 기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동시에 군 조직 구심력 회복 여부와 전력 공백 최소화가 최대 과제”라는 지적도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정치적 파장과 조직 내 긴장 수위도 상당하다”고 봤다.
군 안팎의 관심이 쏠린 가운데, 국방부는 이번 인사로 군심을 다잡고, 연말까지 후속 2성 이하 장성·대령급 인사도 순차적으로 단행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