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AI 연산 인프라 확보”…정부, GPU 5만장 도입 총력전
인공지능(AI)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GPU(그래픽처리장치) 고속도로’ 확보에 정부가 속도를 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첨단 인프라 가속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제도 개선과 자금 투입 등 정책 지원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1조4600억원 예산이 투입된 GPU 5만장 확보 사업의 추진상황과 향후 계획이 집중 논의됐다. 업계는 이 같은 정부 주도의 인프라 조성 정책을 ‘글로벌 AI 경쟁 격차 해소의 분수령’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는 카카오, NHN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등 주요 AI 기업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참석했다. 정부와 민간, 산학연이 첨단 GPU 공동 구축과 AI컴퓨팅 역량 강화에 힘을 모으는 구조다. 현장에서는 NIPA가 ‘GPU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과 연내 산학연·기업 대상 GPU 배분 계획을 발표했다. 이처럼 대규모 연산 자원을 한데 모아 제공하는 구조는, 소수 대기업의 독점이 아닌 산업 전반의 AI 연구개발 기반 확충을 겨냥한다.

기술적으로, 첨단 GPU 인프라는 대규모 AI 모델의 학습, 각종 시뮬레이션, 예측 서비스 등에 필수적이다. 이미 글로벌 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경쟁에서 앞서가고 있다. 미국 빅테크는 수십만 장 규모의 GPU팜을 구축해 자체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반면, 한국은 인프라 확보와 데이터센터 운영비 부담이 주요 과제였다. 정부의 이번 조치로 중소 AI 스타트업과 연구기관도 고성능 연산 능력에 접근할 길이 열릴 전망이다.
현장에선 친환경 AI 데이터센터 사례도 주목받았다.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은 빗물 재활용, 태양광 설비, 대학 협력, 주민 개방 등 ESG 경영을 강조했다. 이는 전력소비와 환경 부담이 큰 데이터센터 운영의 한계를 일부 넘는 접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책·규제 환경도 변화가 예고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센터 인허가, 전력 수급, 친환경 설계, GPU 조달 등의 장애요인 해소를 위한 특별법 도입을 검토 중이다.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지원과 제도 개선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업계 공동 업무협약 체결로, 계약·배분·운영 투명성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첨단 AI 인프라 구축은 산업 현장의 혁신 뿐 아니라 국가 디지털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GPU 및 데이터센터 고도화와 함께 정책적 뒷받침이 병행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정부 주도의 AI 고속도로 구축이 실제 창업·연구·서비스 현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