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정데레사, 꽃길 위 모녀 상처 품다”…인간극장, 산골의 삶→흙냄새에 깃든 깊은 사연
엔터

“정데레사, 꽃길 위 모녀 상처 품다”…인간극장, 산골의 삶→흙냄새에 깃든 깊은 사연

윤찬우 기자
입력

안개가 걷히며 모습을 드러내는 영천 산골의 작은 오두막 안, 인간극장에 등장한 정데레사와 김정순 모녀의 하루는 한 송이 꽃처럼 조심스럽게 피어난다. 자그마한 비닐하우스와 꽃밭 너머로 번지는 초록의 온기, 어머니와 딸은 잃어버린 시간을 되돌리려는 듯 각자의 자리에서 고요히 뿌리를 내린다. 미국에서의 오랜 삶과 아들을 잃은 그늘이 데레사 씨의 어깨 위에 무겁게 얹히지만, 깊은 산골의 바람과 작은 꽃들이 차츰 그녀의 일상을 어루만진다.

 

정데레사 씨는 기대와 불안이 뒤섞인 채, 모녀가 함께하는 새로운 삶 터를 직접 일구기 시작했다. 익숙지 않은 농사일, 손끝에 맺히는 시행착오 속에서도 작은 꽃들이 피어날 때마다 한 번 더 용기를 내본다. 서로의 온도에 점차 익숙해지는 두 사람은 서툴고 망설였던 시간을 보내고, 이웃과 막걸리를 나누며 느리게 다가오는 회복의 기운을 받아들인다. 마음속 깊은 슬픔을 안고도, 데레사 씨는 꽃을 기르며 조용히 살아가는 법을 배워가고 있었다.

산골에 피어난 위로…‘인간극장’ 정데레사, 꽃밭 일기→모녀의 시간과 상처를 보듬다 / KBS
산골에 피어난 위로…‘인간극장’ 정데레사, 꽃밭 일기→모녀의 시간과 상처를 보듬다 / KBS

삶의 상처를 껴안고 묵묵히 걸어온 시간, 모녀는 각자의 공간을 지키는 ‘따로 또 같이’의 방식을 택했다. 무언의 갈등과 화해가 반복된 하루하루엔 이웃이 나눠준 복숭아도 함께했고, 낯선 농사에 다시 도전하는 두근거림과 포항으로 떠난 잠깐의 여행이 작은 위로가 됐다. 어머니에 대한 미안함과 그리움, 그리고 가슴 한편에 묻은 아들에 대한 사랑은 계절을 따라 흐르며 오늘의 일상 속에 스며든다.

 

척박한 땅에도 꽃은 결국 피어난다는 것을 정데레사와 김정순은 매일의 삶 속에서 깨우치고 있다. 한 번의 포옹, 작은 웃음, 그리고 여름 끝자락의 맑은 공기까지도 모녀의 시간에 특별한 의미로 남는다. 이들의 이야기는 영천의 조용한 산골을 무대로 피어나는 위로이자, 잔잔한 감동의 꽃길로 이어진다. 두 사람이 함께 살아낸 나날들의 풍경과 감정은 ‘인간극장’을 통해 오는 9월 15일부터 9월 19일까지 평일 아침마다 시청자들의 마음에 오래도록 남겨질 전망이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데레사#인간극장#김정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