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협상 앞둔 총력전”…조현 한미 외교수장 회담, 북미 변수 속 한미동맹 강조
관세 협상 시한을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미 양국 외교수장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머리를 맞댔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점을 앞두고 조현 외교부 장관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31일(현지시간) 첫 회담에 나서며, 한미동맹 현대화와 관세 협상 지원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한국은 국방비 증액과 미국산 무기 구매 등 동맹 기여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미국이 관심을 갖는 안보 협력 강화 의제를 전면에 내세워 관세 협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을 택했다.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8월 1일) 바로 직전에 성사됐다.

양국 장관은 상호 첫 대면 자리에서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역내 및 글로벌 정세, 북한 문제 등 광범위한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밝힌 대미 메시지에 대한 공동 평가와 대응 방안, 그리고 북미 정상 간 대화 가능성을 두고 한미 공조 필요성도 재확인될 전망이다. 김여정 부부장은 최근 담화에서 "비핵화 협상 의지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북미 정상 간 관계는 "나쁘지 않다"고 언급해 대화의 여지를 남겼다. 반면 한국을 향해서는 "마주 앉을 일 없다"며 선을 그은 만큼, 일부에서는 북미 협상 구도에서의 '한국 패싱'도 우려된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한미정상회담 일정 조율도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정부는 관세 협상 결과와 연동해 정상회담의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려 한다는 입장이다. 관가에서는 관세 협상이 일단락된 직후 정상회담 일정이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현 장관은 방미 기간 중 앨리슨 후커 미 국무부 정무차관 등 미국 행정부 및 의회, 각종 싱크탱크 관계자들과도 별도 면담을 추진할 예정이다. 후커 차관은 트럼프 1기 때 대북 협상 실무를 담당했던 인물로, 이번 한미 협력 및 대북정책 조율도 심도 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한미 외교 라인 가동이 관세 협상 막판 판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북미를 둘러싼 외교 변수와 대미 협상의 교착이 반복되는 만큼, 한미동맹의 공고함이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오른 모습이다. 정부는 다음 달 초까지 관세 협상 타결과 함께 한미 정상간 교류 활성화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