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미중 정상 방한, APEC 성패 좌우”…김민석 총리, 북미대화엔 신중론

박선호 기자
입력

미중 정상의 동시 방한 여부를 둘러싸고 정치권과 외교라인의 셈법이 복잡하게 얽혔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3일 경주에서 직접 관련 입장을 전하며 향후 한반도 정세와 APEC 정상회의의 흐름에 대한 주목도를 높였다. 이번 APEC 정상회의 성패가 양국 정상 참석 여부와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외교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경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로서는 (미중) 정상들이 참여하는 것으로 됐기에 그 자체로서 성공 가능성은 열어놨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실은 중간에 미중 정상을 포함한 ‘간접적 완성체’가 될 것이냐가 관건이었다”고 말하며 APEC 개최의 분기점에 대해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사 기간 중 방한해 한미정상회담을 진행하나, APEC 정상회의 본 회의에는 불참할 전망과 관련해 김 총리는 “아쉬움은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계기에 충분히 많은 얘기를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국제외교 무대에서의 실익 확보에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 전망과 관련해선 “초기에는 쟁점 간의 간극이 컸으나, 지금은 많이 좁혀졌다”고 평가하면서도 “APEC 기간 내 최종 마무리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한편 APEC 계기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미지수”라면서, “APEC이 미중 갈등 등 전체적으로 더 나아가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까지 취임 후 8차례 경주에 들러 현장 점검을 거듭해 왔다. 행사 성공 개최 의지를 밝히며 “큰 틀에서 공사와 인프라 준비는 끝났다. 디테일까지 신경쓰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준비 상황을 수치로 묻는 질문에는 “마지막 남은 1%는 하늘이 도와줄 것”이라며 긴장과 희망을 동시에 드러냈다.

 

총리는 APEC 종료 후 지방 및 현장 일정 소화에 집중할 뜻을 시사했다. 그는 “APEC이 끝나면 취임 이후 가장 많은 일정을 투자했던 일이 마무리되는 것”이라며 “이후에는 지방과 현장을 더욱 챙길 계획”이라고 전했다.

 

정치권은 미중 정상 참석과 북미 대화 가능성을 놓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미 간 통상 쟁점과 더불어 경주에서의 외교전이 국내외 정세에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정부는 APEC 정상회의와 연계한 추가 외교 이슈와 현장 후속 점검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apec#미중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