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학폭 무마 의혹 정조준”…특검, 30일 연장·관계자 소환 본격화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학교폭력 무마 의혹'과 권성동 의원의 '통일교 1억원 수수' 사건을 두고 정치권이 다시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 자녀 관련 학폭 논란에 대해 특별검사팀이 본격 수사에 착수하고, 동시에 야권 인사의 소환 불출석까지 이어지며 정국이 격랑에 휩싸였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의 자녀 학폭 무마에 김건희씨가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 이번 주 학폭위 간사를 소환조사하는 등 본격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형근 특별검사보 역시 “경기도 성남교육지원청에서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내사한 끝에 공식 수사로 전환했다”며, 이번 주 참고인 조사를 시작으로 학폭위 및 관계자 소환이 잇따를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당 사건은 2023년 7월 대통령실 김승희 전 의전비서관의 딸이 초등학교 학폭 사건의 당사자였으며, 학폭위는 상해를 입힌 행위에 대해 출석정지 및 학급교체 처분을 내린 바 있다. 하지만 강제 전학 조치는 최종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김건희 여사가 사건 발생 직후 교육부 고위관계자와 8분가량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 무마 의혹이 증폭됐고, 김 전 비서관은 논란 직후 자리에서 물러난 상황이다.
특검팀은 수사 기간도 30일 연장하기로 했다. 김건희특검법상 1회에 한해 30일 추가 연장이 가능하며, 23일 국무회의 통과 후 대통령 재가와 공포까지 이뤄지면 추가 연장까지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특검 기간은 현행 90일에서 최장 150일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의 ‘통일교 1억원 수수’ 관련 소환조사는 이날 불발됐다. 권 의원 측은 ‘앞선 두 차례 조사로 혐의에 대해 충분히 소명했다’는 취지의 불출석 사유서를 특검에 제출했다. 권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과 관련해 통일교 관계자로부터 조직과 표를 지원받는 대가로 현안을 정책에 반영하도록 청탁받고, 1억원 상당을 수수했다는 혐의로 구속돼 있다.
정치권은 김건희 특검의 학폭 무마 의혹 수사와 권성동 의원의 불출석 사태를 두고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여야 모두 “정치적 진실 규명”을 주장하며, 향후 국회 차원에서도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국이 민감한 수사와 소환 문제로 출렁이면서, 특검팀은 연장된 기한 내에 핵심 쟁점에 대한 추가 수사 및 관계기관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