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공항서 무인 로보택시 첫 허가”…웨이모, 자율주행 서비스 시장 판도 변화 전망
16일(현지시각) 미국(USA)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구글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웨이모(Waymo)’가 공식 시험 운행 허가를 획득했다. 웨이모는 공항 측과 협력해 상업용 무인 택시 서비스의 단계적 확대를 예고했으며, 이번 조치는 미국 자율주행 서비스 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
웨이모는 이날 발표에서 샌프란공항 내에서 자사 로보택시의 시험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히며, 초기 단계에서는 제한된 직원 대상 시범 운행에 안전 요원을 동승시킨다고 전했다. 완전 무인 호출 서비스 도입 전까지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웨이모가 공항 내 공식 상업 운행 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미 샌프란시스코 시내·인근 지역에서 유료 자율주행 서비스를 운영해온 데 따른 서비스 영역 확장이다.

웨이모는 2022년 피닉스 스카이하버 국제공항에서 시험 운행을 개시한 이래, 이달 초 새너제이 국제공항에서도 추가 허가를 취득하는 등 미국 대도시 주요 공항으로 서비스를 넓혀가고 있다. 현재 웨이모의 로보택시는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실리콘밸리 일부를 비롯해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애틀랜타 등지에서 상용 운영 중이며, 로보택시 업체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있다.
한편, 전기차 기업 테슬라(Tesla)도 최근 오스틴에서 안전 요원이 탑승하는 로보택시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테슬라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공항 내 서비스 확대를 위해 관련 허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아마존(Amazon)이 보유한 자율주행차 업체 죽스(Zoox) 역시 지난 10일부터 라스베이거스에서 일반인 대상 무료 로보택시 시승을 개시했다. 죽스는 호텔, 공연장 등 주요 시설을 중심으로 향후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처럼 웨이모, 테슬라, 아마존 등 빅테크 계열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상용화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업계에서는 웨이모의 공항 운행 본격화가 북미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장에 미칠 파장에 주목한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공항 로보택시 확장은 자율주행 서비스 산업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은 향후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상업용 공항 로보택시 서비스가 미국 전역은 물론,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경쟁 구도를 한층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일각에서는 “공공 안전, 규제 체계, 시민 수용성 등 난제가 남아 있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자율주행 기술과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 빅테크의 대규모 투자와 맞물려 자율모빌리티 산업의 주도권 다툼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이번 웨이모의 공항 시험운행 허가가 향후 국제 도시와 공항에서의 서비스 모델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