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석 처장 막말 논란, 대통령 부담될 것”…박범계, 자진 거취 촉구
막말 논란을 둘러싸고 정치권이 격돌했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과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정면으로 맞섰다. 최근 논란이 된 최 처장의 과거 발언이 재조명되면서, 현직 인사혁신처장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 박 의원은 30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최 처장에 대해 “앞으로 대통령에게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직격했다.
박범계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장관을 지냈다. 그는 이날 진행자가 ‘최동석 처장이 자진해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고 보느냐’고 묻자, “과거의 태도는 적어도 현 인사혁신처장으로서 직무를 수행하기에는 좀 어려운 태도와 철학을 갖고 있었던 것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사혁신처장 직위는 차관급이지만, 그 역할은 굉장히 중요하다”며, “여론은 안 좋은 것은 맞는 듯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너무 험한 말을 많이 해서 민망하기 짝이 없다”고 덧붙였다.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은 이미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그는 지난달 유튜브 방송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이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 비난하는 등 문재인 정부 및 여권 인사를 향해 거친 표현을 사용해 파장이 컸다.
논란이 확산되자, 최 처장은 전날 언론에 사과문을 배포했다. 그는 “그동안 고위공직자들을 매섭게 비판해왔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저의 비판으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입은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올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향후 더욱 신중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의 눈높이에 걸맞은 공직자의 자세를 갖겠다”며 직위 유지 방침을 분명히 했다.
정치권에서는 박범계 의원을 비롯해 야당을 중심으로 최 처장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는 한편, 여당 일각에서는 직언의 자유와 인사 혁신에 대한 기대가 공존하고 있다. 여론은 여전히 부정적 기류가 뚜렷하며, 향후 인사혁신처와 대통령실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회는 최동석 처장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 공방을 이어가는 동시에, 공직자 언행에 대한 기준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