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사실관계 조준”…이명현 해병특검, 이종섭·국방부·안보실 동시 압수수색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두고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과 군·대통령실이 정면충돌했다. ‘VIP 격노설’로 거슬러 올라가는 군 수뇌부 외압 경로가 압수수색과 소환조사라는 강제수사 국면을 맞았다. 대통령실 지시와 관련된 회의 자료 및 군 고위층 발언 기록이 쏟아지며, 향후 정국에 상당한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이명현 해병특검팀은 10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자택과 국방부 대변인실 등 주요 부서, 국가안보실을 대상으로 동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는 특검 출범 이후 첫 강제수사 절차로, VIP 격노설 수사 본격화의 신호탄이란 평가다. 특검팀은 2023년 7월 31일을 전후해 대통령실 회의에서 내려진 지시와 그 경로, 해병대 수사단 초동조사 결과가 어떻게 수정됐으며 군 수뇌부 주도 하에 경찰 이첩이나 언론 브리핑 등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됐는지 폭넓게 자료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이날 압수수색은 이종섭 전 장관 외에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 등 지휘라인을 망라했다. 특히 국가안보실은 영장 제시 후 임의제출 방식으로 회의 자료 일부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대통령실 회의 참석자 명단과 회의록, 국방부 내 해병대 사건 언론대응 문건 등을 두루 확보하려 했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에서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고 강하게 불쾌감을 드러내고, 해병대 수사단의 경찰 이첩을 보류시켰다는 의혹이다.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은 이후 대통령실 대표번호로 연락을 받고 곧장 경찰 이첩 보류와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또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이 VIP 격노설을 해병대 사령관에 전달한 인물로 지목되며, 대통령실과 군 사이 지시경로가 집중적으로 조명된다.
앞서 지난 5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자료 확보에 나섰으나 한계에 부닥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압수수색은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02-800-7070’ 서버 기록 등 외압 진상을 좁히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특검팀은 11일에는 당시 회의 핵심 인물이자 안보실 실무책임자였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구체적 지시과정과 VIP 발언 진위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의 소환 행렬도 확산할 조짐이 보인다.
정치권은 특검의 압수수색이 청와대, 군, 안보라인 책임자 전방위로 뻗으면서 향후 정국의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 분석에 속도를 낼 방침”이라며 추가 강제수사 가능성도 내비쳤다. 한편 국회는 특검 결과와 연계된 후속 청문·감사 논의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