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자원 고갈 위기, 어민에게 큰 힘 되길"…이양수, 양양·고성 90억 사업 이끌어
수산자원 고갈과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 속에서 해양수산부 수산자원 조성사업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민의힘 이양수 국회의원과 강원 동해안 지자체가 성과를 거뒀다. 동해권 어촌경제 회복을 내건 이 의원의 지역 공모 대응 전략이 가시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 이양수 국회의원 강원 속초·인제·고성·양양은 27일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2026년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사업 공모에서 강원 양양군과 고성군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두 지역은 총 9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구체적으로 양양군은 쥐노래미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에 40억원을 지원받는다. 이 중 국비는 20억원이며 나머지는 지방비로 충당된다. 고성군은 대문어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에 50억원을 배정받았고, 국비 25억원이 연차적으로 투입된다.
양양군은 쥐노래미 산란·서식장 조성을 통해 수중환경을 복원하고, 어류 개체수를 늘려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 이용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해역 특성을 반영한 인공 구조물 설치와 서식 적지 정비로 자원 회복과 어업 생산성 제고를 동시에 꾀하겠다는 구상이다.
고성군은 대문어 인공서식장 조성에 초점을 맞춘다. 자연 산란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치어가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정 서식 환경을 확보하는 데 사업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대문어는 지역 어업인 수입과 직결되는 품목인 만큼, 서식장 확충이 어획량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두 지자체는 사업 추진을 통해 연안 생태계 회복과 지역 어업인 어획량 증가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수산자원량 회복과 더불어 관련 가공·유통 산업 활성화 등 지역 경제 파급 효과도 노리고 있다.
이양수 의원은 그동안 동해권 어촌경제 재도약을 위한 공모사업 유치에 공을 들여 왔다.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 외에도 어촌 신 활력 증진 사업, 어촌뉴딜300 사업 등을 잇달아 추진하며 중앙정부 재원을 지역으로 끌어오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수산자원 고갈과 기후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강원 동해안 어민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자원 회복과 생태계 보호뿐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도록 집행 단계에서도 꼼꼼히 챙겨 보겠다"고 말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수산자원 조성사업이 단기 성과에 그치지 않고 구조적인 어촌 체질 개선으로 이어질지가 관건이라고 본다. 향후 해양수산부와 지자체는 기본계획 수립, 세부 설계, 단계별 집행 상황을 점검하며 사업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며, 국회도 관련 예산 심사 과정에서 수산자원 회복 정책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