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민주주의·헌법 수호 의지 재확인”…이재명 대통령, 민가협 오찬서 40년 공로 격려

장서준 기자
입력

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가치 논쟁이 재점화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과거 민주화운동 가족들과 만났다.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이른바 민가협의 창립 40주년을 맞아 대통령이 오찬 자리를 마련하며, 민주주의와 헌법 수호 의지를 거듭 강조해 관심이 집중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민가협 인사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40년간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진전에 민가협이 남긴 족적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역사의 한순간도 민주와 인권의 가치를 잊지 않은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평가했다. 민가협은 1970년대 민청학련 사건, 1980년대 재일교포간첩단 사건, 미국 문화원 사건 등 굵직한 시국사건 가족들이 모여 1985년 설립된 단체로, 내달 12일 창립 40주년을 앞두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최근 민주주의 질서와 헌법 가치가 흔들렸던 지난 12·3 비상계엄 사태를 언급하며, “민가협이 우리 사회에 던진 물음은 여전히 유효하다. 국민 모두의 희생 위에 세운 민주주의가 굳건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대통령인 저 역시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동안 민가협은 민주화 이후에도 양심수 석방, 고문 근절, 국가보안법 폐지, 비정규직 차별 철폐 등 다양한 사회 현안에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의 이번 행보를 두고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 통합 시그널로 해석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의 직접 소통 행보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민주주의 대화가 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내놨다.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민주주의 가치를 누구보다 소중히 여기겠다는 의지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최근 사회 혼란의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반론도 있었다.

 

정치 전문가들은 “시민사회의 고통과 헌신을 대통령이 인정하고 화답했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며, “민주화 이후의 사회 갈등, 법치주의와 인권 가치의 확립 등 한국 정치가 풀어야 할 숙제가 여전함을 드러낸 자리였다”고 분석했다.

 

이번 민가협 간담회를 계기로 대통령실은 향후 시민사회와의 직접 소통을 늘려가며, 민주주의 질서 회복과 사회적 치유 과제를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민가협#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