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남성 극우 성향” 주장 후폭풍…조국, SNS 논란 재점화
2030 남성 세대의 극우 성향을 둘러싼 논란이 정국을 강하게 흔들고 있다.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서울 잘사는 청년은 극우’라는 취지의 기사를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면서 정치권의 공방이 더욱 거세졌다. 양측은 세대·젠더 프레임과 책임 공방을 놓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조국 원장은 8월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별도의 설명 없이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일수록 극우 청년일 확률 높다’는 제목의 기사 링크를 올렸다. 이에 앞서 조 원장은 22일 언론 인터뷰에서 자신의 사면·복권 여론과 관련해 “아직도 요청이 있으면 또 사과할 생각이다”라고 말하면서도, “2030 남성이 70대와 비슷한 성향, 이른바 극우 성향을 보인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발언이 알려지자 보수 진영을 중심으로 즉각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조국 원장의 자녀 입시 비리 논란과 20·30세대의 비판 여론을 ‘극우화’로 치부하려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 청년이 극우라면 조 원장의 딸인 조민 씨도 극우냐”고 반문하며, “자신에게 비판적인 2030 남성을 극우로 낙인찍고, 세대·젠더 갈등을 정치적 자산으로 삼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진보·보수 양 진영에서는 조국 원장의 SNS 행보가 사실상 세대 갈등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온다. 반면 일부 진보 진영 인사들은 현실 정치에서 2030 남성 표심 변화가 뚜렷해졌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를 인정하고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치에서 세대·젠더 갈등이 고착화되는 양상”이라며 “정책 대안이 아닌 낙인찍기식 대응은 민심 이반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치권의 정면 충돌로 번진 이번 논란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표심 경쟁의 전초전으로 해석된다. 여야는 향후 2030 세대와 젠더 문제를 둘러싼 이슈 선점에 사활을 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