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 있었나”…조태용, 해병특검 피의자 신분 첫 출석 ‘입장 변화’ 주목
채 상병 사망 사건을 둘러싼 ‘VIP 격노’ 논란이 또다시 정치권 격랑으로 번졌다. 현직 대통령과 외교안보라인 핵심 인사를 겨냥한 특별검사 수사가 본궤도에 오르면서,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이 29일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자 진상 규명에 대한 관심이 솟구치고 있다.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이날 오전 9시 30분 서울 서초구 사무실에서 조태용 전 원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소환해 조사에 돌입했다. 조 전 원장은 윤석열 정부 외교안보라인을 대표하는 인물로, 2023년 7월 31일 문제의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당시 국가안보실장으로 자리를 함께했다. 해당 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초동 신고 및 수사 결과를 보고받으며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는 발언과 함께 격노했다는 의혹이 불거졌고,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경찰 이첩 보류 및 언론 브리핑 취소 지시 논란까지 정치 쟁점으로 확산됐다.

특검팀은 조 전 원장이 해당 회의 전후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대통령과 별도 대화를 나눈 경위와, 채 상병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가 경찰에서 회수된 8월 2일 이종섭 전 장관과의 통화 사실까지 면밀히 추궁할 계획이다. 추가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의 중간 연결고리로 떠오른 김장환 목사와의 통화 내역도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전날 “채 상병 수사 결과가 대통령에게 보고된 경위와 최초 수사 결과 보고를 받은 대통령의 반응, 그에 따른 지시와 수사 결과 간의 연관성을 전반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 전 원장은 지난해 국회에서 “VIP 격노나 사건 이첩 보류 지시는 없었다”고 기존 의혹을 일축하면서 “국가안보실의 임무는 국정 전체 보좌이지, 특정 수사 과정의 세부 사항 개입이 아니다”라고 강조해왔다. 그러나 특검 조사에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등 다수의 회의 참석자들이 “당시 대통령의 격노를 목격했다”며 다른 입장을 내비쳐, 조 전 원장의 진술 태도 변화 여부가 각별히 주목받고 있다.
여야는 사건의 진상 규명과 특검 수사 진행을 두고 거센 설전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에선 대통령실의 초기 대응과 외교안보라인의 책임 소재, 명확한 설명 요구가 강화되고 있다.
정치권은 조 전 원장이 특검 소환 조사에서 기존 입장에 변화를 보일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관련 인사 추가 소환 및 연쇄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이른바 ‘VIP 격노’ 논란의 진상이 한층 구체적으로 드러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