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석 없는 자율주행 혁신”…오토노머스에이투지 청계A01, 서울 도심 실증→미래 교통 전환 신호탄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미래가 서울 도심에 상륙했다. 국내 자율주행 전문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개발한 운전석 없는 셔틀버스 ‘청계A01’이 최근 청계광장과 광장시장을 잇는 노선에서 실증운행을 시작하며, 전통적인 대중교통의 패러다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 혁신적 시범운행은 서울의 혼잡한 도심을 무대로 본격화돼 미래형 교통 시스템 전환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청계A01은 운전석, 핸들, 페달이 완전히 제거된 ‘진정한 무인자율주행’ 콘셉트로, 차량 내부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차량에는 4개의 라이다와 5개의 레이더, 8대의 카메라 센서가 탑재돼 각종 도로상황과 돌발 변수에 대응하며, 오토바이·화물차·보행자가 빈번한 청계천 일대의 복잡성을 단번에 넘는다. 국내외 자율주행 대중교통 사례와 달리, 조이스틱 기반 안전관리자만 탑승하는 시스템에 힘입어 진일보한 기술력을 구현하고 있다. 서울시는 법적 요건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 등 일부 구간에서 수동 운전을 전환했으나, 전체 4.8km 실노선 주행이 대다수 완전 자율로 이뤄졌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이병진 사업개발 1팀장은 “청계천 일대처럼 혼잡한 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다”고 밝히며, “승차감과 주행속도 등은 추가 실증을 통해 가다듬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청계A01은 순환노선을 따라 하루 11회,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당분간은 무료로 운영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도심 실주행 환경에서 입체적으로 검증되고 있는 점에서, 향후 대중교통 자율주행 상용화로의 전환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센서 융합기술과 대도시 환경 적응성이 결합된 이번 사례를 미래형 모빌리티 생태계의 기폭제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