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복구 67% 돌파”…행안부, 공공데이터포털 등 순차 정상화
정부 전산망 장애 복구 작업이 67%의 진척도를 보이며 주요 공공 서비스가 정상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화재로 인해 장애가 촉발된 이후,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는 전산망 시스템 709개 중 474개를 복원했다고 23일 밝혔다. 전산망 장애로 인해 일시 중단됐던 고용노동부 메일 시스템, 행정안전부 자전거행복나눔,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업무포털 등도 이날 추가 복구됐다.
전산망 복구율은 66.9%로, 등급별로 1등급 시스템 40개 중 33개(82.5%), 2등급 68개 중 52개(76.5%), 3등급 261개 중 182개(69.7%), 4등급 340개 중 207개(60.9%)가 정상화됐다. 등급 체계는 시스템의 중요도와 복구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된다.

특히 공공기관의 자료를 모아 제공하는 1등급 서비스인 공공데이터포털이 이날부터 재가동을 시작하며,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파일 다운로드·데이터 제공 신청 등 주요 기능이 열린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는 해당 포털의 전체 서비스가 멈춰 데이터 활용에 차질이 빚어졌으나, 이번 복구로 이용자 접근이 개선됐다. 단, 일부 파일 데이터와 공공기관의 신규 데이터 등록 등은 추가 복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글로벌 디지털 행정 환경에서 전산망의 신속한 복구는 국가·공공 서비스 안정성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미국, 일본 등도 재난 대응 시 중요시하는 영역으로, 신뢰성 확보 노력이 활발하다. 이번 화재와 유사한 장애 발생 사례에서 주요 선진국은 미러링, 백업 시스템 강화로 재해 복구 시간을 단축해 왔다.
행안부는 주요 기능 복구 후에도 각 서비스의 세부 기능을 점검해, 이달 말까지 모든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복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정보기술 업계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복구 속도와 우선순위 조정이 공공 IT 인프라의 안전성 논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산망 복구의 성공 여부가 이후 데이터 신뢰 및 국가 디지털 전환 전략 마련에 영향을 미칠 변수”라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복구 과정이 실제 시스템 신뢰 회복과 향후 재난 대응 체계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