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안보 현안 중대 분수령”…위성락, 워싱턴 급파해 관세 협상 집중
통상과 안보 현안을 두고 한미 간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6일 미국 워싱턴DC로 급파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상호관세 유예기간 만료를 불과 이틀 앞둔 시점에 이뤄진 이번 방미는 한미관계 분기점을 예고하며 정치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위성락 실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한미 사이에 통상과 안보 관련한 여러 현안이 협의돼 왔다”며 “협의 국면이 중요한 상황으로 들어가고 있어, 제 차원에서 관여를 늘리기 위해 방미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NATO 회의 방문에서도 유사한 협의를 진행했으며, 이번 방미도 그 연장선”이라며, “결과는 나중에 말씀드리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방미의 주요 의제는 상호관세에 대한 조건 재협상, 유예기간 연장 등 통상 분야와 함께, 한미정상회담 일정 조율, 안보 사안 등도 포함될 예정이다. 위 실장은 “한미 간 여러 현안이 있다. 관세협상도 있고, 안보 사안도 있다”고 밝혔으며, 정상회담 논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러 현안 중 하나로, 실제로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미국 측 당국자와의 직접 면담을 위해 현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인 마코 루비오와 첫 회동을 추진하고 있음도 시사했다.
정치권에서는 위성락 실장의 미국행을 두고 정부가 ‘전방위 외교전’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루 앞서 미국을 찾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역시 “각자 역할을 분담해 ‘올코트 프레싱’에 나서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위 실장은 “여러 현안이 중요한 국면으로 들어가 정부도 모든 노력을 다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국으로 특사 파견을 검토 중이라는 관측에는 “아직 협의 중인 사안이어서 밝히기 어렵다”며 구체적 답변을 피했다. 이어 “지금은 (파견) 시점도 판단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외교·통상 전선의 분수령이 될 이번 실무 협의 결과에 따라, 향후 한미관계는 물론 트럼프 행정부와의 무역·안보 관계 조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부는 관세, 정상회담 등 주요 사안을 놓고 협의 진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필요 시 추가 특사 파견 등 다각적 대응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