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부동산 통계 조작 감사는 탄압”…더불어민주당, 국정조사 추진 검토
문재인 정부 시기의 '부동산 통계 조작 의혹'을 둘러싸고 정치권 갈등이 극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7월 11일, 감사원의 통계 감사에 대해 "탄압 조작 감사"라 규정하며 국정조사 추진 가능성을 공식 언급했다. 통계 조작 논란이 재점화되며 여야가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 황정아 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석열 정부가 이미 통계 조작 결론을 내놓고 이른바 '새벽 조사'까지 강행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감사원은 한국부동산원 직원들이 조작을 인정할 때까지, 일부는 새벽 3∼4시까지 조사를 했다는 증언도 있다"며, "전 정권의 탄압 조작 감사와 관련해 국정조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대변인은 "현재로서는 조사 필요성에 동의하는 수준"이라며 "국정조사 현실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공식 감사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새벽까지 조사가 이어졌고, '조작이라고 인정해야 집에 보내줬다'는 부동산원 직원의 증언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야권 내에서는 감사원의 감사를 오히려 '국기문란'이라고 반발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감사원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2023년, 문재인 정부의 집값 등 주요 국가 통계 작성 실태를 감사한 결과, 수년간 통계 조작이 있었다는 결론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실체가 없는 조작 혐의를 만든 것 자체가 감사원의 조작"이라며 강력 반발해왔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3대 특검 상황종합대응 특별위원회'(가칭) 설치 방침을 의결하고, 전현희 최고위원을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여야는 통계 조작 의혹과 관련해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국정조사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한동안 정치권 내 긴장이 고조될 전망이다. 국회는 다음 회기에서 국정조사 추진 여부를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