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김건희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순직해병특검, 채상병 사건 외압 실체 접근 시도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명현 순직해병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직접 사용했던 비화폰 통신기록에 손을 뻗으면서, 대통령실을 포함한 권력 핵심의 수사외압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추적하고 있다. 특검의 연이은 압수수색과 핵심 인사들에 대한 자료 확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치권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30일 서울 서초동 특별검사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주 대통령실과 국방부 군 관계자 비화폰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또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사단장 등 21명의 비화폰 통신기록을 국군지휘통신사령부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제출받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특히 김건희 여사의 비화폰 사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 "확인된 사실이다. 본인에게 지급된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어 "수사외압이 의심되는 특정 기간의 비화폰 통신기록을 집중 분석해 실체 접근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채상병 사망사건과 관련해 특검은 2023년 7월 이후 소위 ‘VIP 격노’ 회의 전후 시기를 주목하고 있다. 당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에서 배제된 배경에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축으로 한 조직적 외압과 구명로비가 있었다는 의혹이 수사의 뿌리가 됐다.
이와 관련해 특검팀은 이미 윤석열 전 대통령, 임성근 전 사단장 자택 압수수색을 벌여 일반 휴대전화 등 각종 자료를 확보한 바 있다. 그러나 압수 자료 분석 과정에서 "일반 휴대전화로 주고받은 기록 이외에, 보안성이 높은 비화폰이 중간중간 사용된 정황을 포착했다"며, 이로 인해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정 특검보는 밝혔다.
특별검사팀은 대통령경호처에 압수수색영장을 제시해 임의제출 형식으로 관련 기록을 제출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검은 이번 주 안에 모든 비화폰 기록을 넘겨받아 정밀 분석에 착수할 전망으로, 그 결과에 정치권과 검찰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상황이다.
특검팀의 수사 범위도 한층 확장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당초 김건희 여사의 측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의 구명로비 의혹에 집중했던 특검은, 이후 개신교계, 윤석열 전 대통령 사법연수원 동기, 육군사관학교 출신 고석 변호사 등 다각도의 구명로비 정황이 드러나면서 수사 대상 폭을 넓히고 있다.
실제로 지난 18일에는 구명로비 관여 의혹이 불거진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 기독교계 이영훈·김장환 목사, 여의도순복음교회 등을 대상으로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특검의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 시도가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의 실체 규명으로 직결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료 확보와 분석이 끝나는 대로 특검은 관련 인사 소환 등 수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