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 본회의장 이동 한동훈 요청 거부”…추경호,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 정면 반박

조민석 기자
입력

국회 본회의장 이동을 둘러싼 국민의힘 지도부 간 판단 차이가 내란특별검사팀의 체포동의안 제출로 확산되고 있다.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와 한동훈 전 대표가 계엄 해제 표결을 앞두고 격돌했고,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은 추 전 원내대표의 행위를 의원 표결 방해로 규정하며 정국이 새로운 격랑에 휩싸였다.

 

13일 국민의힘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체포동의안에 따르면, 내란특검팀은 "한동훈 전 대표의 본회의장 집결 요구와 상반되게 국민의힘 당사 집결을 지속적으로 공지해, 당 소속 의원들의 본회의장 출석 및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고 명시했다.  

체포동의안에 따르면, 추 전 원내대표는 2024년 12월 3일 밤 11시22분께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비상계엄 협조 요청 전화를 받은 직후, 한동훈 전 대표의 '국회로 바로 이동해야 한다'는 제안을 거부했다. "중진들의 의견을 들어보자"며 소속 의원들에게도 이를 알리지 않은 정황도 드러났다. 또한 추 전 원내대표는 한 전 대표가 요청한 원내대표 명의의 계엄 반대 성명을 "당 대표가 낸 만큼 원내대표 별도 입장은 필요 없다"는 이유로 내지 않았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표결 방해를 목적으로 계엄 해제 반대 여론 차단과 당사 집결 공지 유지, 본회의장 이동 미이행 등의 행위를 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한동훈 전 대표가 거듭 본회의장 이동을 촉구했으나, 추 전 원내대표는 "의원들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며 원내대표실에 잔류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검은 특히 당시 계엄군이 원내대표실 인근 정책위의장실 창문을 깨고 진입하는 등 혼란이 극심했음을 강조했다. 또한 우원식 국회의장이 11시55분께 국회의원 전원에게 본회의 집결을 통보했음에도, 추 전 원내대표가 4일 0시3분께 의총 장소를 당사 3층으로 재공지한 점도 표결 방해 정황으로 지목됐다.

 

이 과정에서 본회의장에는 이미 110여명의 국회의원이 집결했고,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도 담을 넘어 국회 경내로 진입 중이었으나, 추 전 원내대표는 '당사 집결'을 3차례 더 공지해 표결 참여 차단 의혹을 샀다. 또한 그는 본회의장에 있던 일부 의원들에게 자신이 원내대표실에 있음을 알렸고, 이 일부 의원들은 표결 시까지 원내대표실에 머물렀던 것으로 특검은 파악했다.

 

의결 후 상황에서도 논란이 이어졌다. 12월 4일 오전 1시3분 계엄 해제요구안이 의결되고 오전 2시5분 계엄군이 철수했음에도 추 전 원내대표는 계속 원내대표실에 머물렀다. 계엄 해제 직후에도 2차 계엄 선포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추 전 원내대표가 국회를 떠나 당사로 이동한 것도 특검의 문제 삼은 대목이다. 한동훈 전 대표가 "계엄 상황이 끝날 때까지 본회의장에 모여야 한다"고 했으나, 추 전 원내대표는 "당사에 있자"고 맞섰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특검의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그는 "한 전 대표의 '국회로 이동' 요구를 거부한 것이 아니라, 의견 교환이 있었을 뿐이며 국회 출입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곧장 함께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의원 이탈 유도 의혹에 대해서는 "본회의 개의 전, 의논 후 함께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했다. 자정 이후 임시로 당사 집결을 공지한 배경 역시 "경찰의 국회 출입 차단 조치에 따른 것으로 한 전 대표 지시와 충돌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에 대해서도 "의원들의 국회 진입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부됐다"고 반박했다.

 

여야는 이번 체포동의안 제출 및 내락 특검의 판단을 두고 정면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들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해제 표결을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는 특검 분석에 대해 "정무적 판단의 영역"이라며 신중론을 폈다. 시민사회와 일각 법조계에서는 지도부 책임론과 함께 당시 상황의 구체적 검증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날 국회는 계엄 해제 표결·기관장 체포동의안 문제를 두고 또다시 격렬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정치권은 내란특검의 수사 방향과 국회의 향후 조치에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관련 법안 및 징계 논의가 다음 회기에서 본격화될 전망이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추경호#한동훈#국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