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적 앞에서 물러서지 않았다”…육군 6사단, 김교수 대위 희생정신 추모
정치

“적 앞에서 물러서지 않았다”…육군 6사단, 김교수 대위 희생정신 추모

윤선우 기자
입력

치열했던 6.25전쟁의 격전지 교암산, 그 마지막 전투를 지켜낸 영웅을 기억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육군 6사단은 7월 24일 강원 철원군 월정리역 인근 추모비 앞에서 전사자 김교수 대위 추모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진성 6사단장, 김교수 대위 유가족, 청성전우회, 철원군 보훈단체 등 160여 명이 자리해 그의 희생정신을 기렸다.

 

추모식은 헌화와 분향, 전투 약사 보고, 기념사, 군가 ‘전선을 간다’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김진성 6사단장은 “적 앞에서 절대 물러서지 않았던 선배 전우님들의 기상을 거울삼아 확고한 군사대비태세 완비로 희생에 보답하겠다”고 밝혀 빈틈없는 안보의지를 강조했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김교수 대위는 육군 6사단 소속 중대장으로 1953년 7월 13일 강원도 김화군 교암산에서 중공군의 대규모 공세에 맞서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철원평야와 화천발전소 일대를 두고 양측이 접전을 벌인 해당 지역은, 전쟁 막바지까지 전략적 요충지로 전투가 계속됐다. 특히 휴전협정 체결이 다가오면서 중공군 주력 연대가 김 대위가 이끄는 1개 중대를 포위, 마지막 총공세를 펼쳤다.

 

격전 끝에 방어 진지를 상실한 김 대위는 동료들을 동굴로 피신시키고 아군에게 포격을 요청했다. 이후 수류탄과 총검을 들고 8시간이 넘는 백병전 끝에 장렬히 전사했다는 것이 전투 기록이다. 그 결과 교암산 전투는 김교수 대위의 1개 중대가 중공군 1개 연대를 온몸으로 막아낸 것으로 남았고, 중대원 6명만이 살아 돌아왔다. 2주 후 정전협정이 최종 타결됐다.

 

정부는 김 대위의 희생과 용기를 기려 휴전 직후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했으며, 2015년 6·25전쟁 65주년에는 그를 ‘호국영웅 10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이날 육군과 유가족들은 김 대위의 숭고한 충의정신을 되새기며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치권과 군은 국가 안보와 희생정신을 계승할 필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로 삼았다. 정부는 앞으로도 전쟁 영웅에 대한 예우와 추모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육군6사단#김교수대위#6.25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