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IT 화재 여파”…국정자원관리정보원, 업무 총괄 공무원 사망 충격
지난달 발생한 국정자원관리정보원 대전 본원 화재가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 운영의 취약점을 드러낸 가운데, 화재 대응 업무를 총괄했던 4급 공무원이 투신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공공 IT 인프라 운영 리스크와 사고 대응 체계의 한계가 산업계와 정책 현장의 부담으로 재확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세종소방본부, 경찰 등에 따르면 3일 오전 10시50분께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국정자원 관련 업무를 담당해온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소속 직원이 사망했다. 고인은 국정자원 화재 직후부터 중단된 647개 정보시스템의 신속 복구를 비롯한 사고 수습을 총괄했다. 현재 사고 원인 등 세부 상황을 경찰이 조사 중이며, 내부 유서 등 범죄 혐의점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문제의 화재는 지난달 26일 IT 전산실에서 발생하면서 주요 국가 행정망, 데이터 저장 시스템, 민원 서비스를 포함한 647개 시스템이 갑자기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졌다. 복구 작업은 지속되고 있으나 3일 오전 기준, 전체 중 115개만이 정상화됐다. 정보시스템 장애가 길어지면서 국민 대상 서비스 공백·행정문서 열람 지연 등 실생활에 악영향이 커졌다.
국정자원관리정보원 등 IT 인프라 괸리체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과거 2023년 행정전산망 장애 이후로 분산·백업 체계, 시스템 안전 대책 마련을 강조해 왔으나, 근본적 재발 방지는 미흡했던 것으로 지적된다. 이번 사고를 두고 공공 정보화 사업의 표준관리와 사고 재발 방지 정책이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현재 감리업체 등 4명을 업무상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으며, 전산실 배터리 운용 및 사고 시점 작업정보, 사업관리 문서를 집중적으로 수집 중이다. 국내외적으로는 최근 대규모 사이버 공격, 클라우드 장애 사례가 잇따르면서 선진국 정부들도 관련 규제 강화와 사고 복원 시스템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 사업, 공공 클라우드 전환 등 IT 정책 전반의 신뢰에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 IT보안 전문가는 “단일 인프라 의존도를 낮추고, 인공지능 기반 위협 감지, 실시간 백업체계 등 국제 기준 수준으로 정책·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산업계는 긴급 상황에서의 전문 인력 부담, 사고 이후 책임 구조, 지속적 규제 개선이 공급망 리스크와 함께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공공 IT 인프라의 신뢰 회복과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기술적 보강 논의가 재점화될 것으로 주시하고 있다. 기술 신뢰와 현장 인력 지원, 정책과 윤리의 균형이 새로운 IT·바이오 산업 성장의 조건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