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BM 화성-20형 첫 공개”…김정은, 북·중·러 연대 과시하며 대미 군사 압박 고조
맞대응 성격의 군사적 과시가 한반도에 긴장을 높이고 있다. 북한이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진행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을 포함한 다수의 첨단무기를 대거 선보이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국과의 대치 국면에서 무력 시위를 선택한 여파다. 이번 열병식은 중국과 러시아 등 우방국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북·중·러 연대가 한층 드러난 자리였다.
조선중앙통신은 11일 “최강의 핵전략무기체계인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20'형 종대가 주로를 메우며 광장에 들어서자 관중들이 터치는 열광의 환호가 고조를 이루었다”고 전했다. 조선중앙TV 역시 “우리의 주적을 겨냥해 당중앙의 발사명령만을 기다리고 있다”며 미국 본토 타격 능력을 내세웠다. 특히 “이 타격의 사정권에는 한계가 없는 초강력 전략공격무기”라는 점을 집중 강조했다.

군사전문가인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화성-20형 ICBM 이동식발사대의 구조가 러시아 미사일과 유사하다”며 “발사관 덮개와 기립장치 등 외형 변화로 탄두 적재 공간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앞서 북한은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적용한 신형 고체연료 엔진 개발 사실을 언급한 바 있으며, 이는 화성-19형과 신형 화성-20형에 모두 활용될 전망이다. 기존 고체연료 엔진 대비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해당 엔진의 최대 추력은 200tf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열병식에서는 ICBM 뿐 아니라 극초음속미사일, 신형 전차, KN-23·KN-24 단거리 탄도미사일, 자폭무인기, 전략순항미사일 등 다양한 전략·전술무기가 함께 등장해 북한의 군 현대화 방침이 재확인됐다. 이중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화성-11마’는 극초음속 활공체(HGV) 형상 탄두를 부착한 점이 특별히 주목받았다. 군사 전문가들은 “마하 5 이상 속도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한미 방공망 회피와 전략적 가치 증대를 위한 조치”라는 견해를 내놨다.
정치권과 전문가 사이에선 북한이 시험발사를 거치지 않은 신형 ICBM을 열병식에 공개한 점이 미국 등 서방을 직접 겨눈 고도의 정치적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왔다. 다탄두(MIRV) 탑재가 유력시되는 화성-20형은 ‘개발 완성 단계가 임박했다’는 신호를 국제사회에 던지고, 북미 간 전략무기 경쟁을 부추기는 동시에 한미일 안보 공조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목적이 혼재한다는 평가다.
한편 이날 열병식에는 ‘화성-20형’ 이동식발사대 3대가 무대에 등장했고, 조선중앙TV 등 관영매체는 “필요한 순간 발사될 것”이라며 시험발사 가능성을 열어뒀다. 북한 국방발전-2025 전시회에서 선보였던 일부 전략무기들은 제외됐지만, 최신 개발 무기 위주 편성으로 국방과학 기술력을 집중 부각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북한의 이번 움직임에 대해 미 측은 긴급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고, 한미 군 당국도 전략자산 전개 및 방어체계 강화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한반도 군사적 긴장이 재차 고조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북한 신형 ICBM의 시험발사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응 태세 점검과 외교안보 라인 강화를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