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의 상징, 앞으로는 서울이 될 것”…이재명 대통령, 샌델 교수와 정의·평화 대화
정치와 철학의 접점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가 만났다. 양측은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평화 배당을 놓고 깊이 있는 대화를 이어가며 한반도와 세계 정세를 진단했다. 계층 간 갈등, 평화 체제의 필요성, 민주적 연대가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고민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두 인물의 만남에 정치권과 학계의 시선이 집중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미국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를 접견하고 “아주 오래전부터 대한민국 국민이 좋아하는 학자”라며 “특히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다. 대한민국 국민의 교수님”이라고 직접 언급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상식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일은 말로는 쉽지만 현실에선 매우 어렵다”며 “전 세계가 정치적 혼란을 겪고 극우의 발호로 사회적 안전성도 저해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빛의 혁명을 통해 민주적 사회와 연대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모범이 되고 있다는 자부심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민주주의라고 하면 교과서상 아테네가 떠오르는데, 먼 훗날엔 서울을 먼저 떠올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반도 평화 체제를 강조하며 “평화가 비용이나 손실이 아니라 현실적 이익이며, 국민 모두가 평화 배당을 얻을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이익 배당은 세속적인 개념일지 모르나, 평화와 정의, 민주주의가 현실에서 이익이 된다는 점을 많은 이가 인식하길 바란다”고 강유정 대변인을 통해 전했다.
이에 대해 마이클 샌델 교수는 “노동자와 엘리트 간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동 존엄성이 반드시 인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식이 많다고 해서 더 존중받을 이유는 없고, 사람은 그 자체로 존귀하다”며 “권력과 재력을 가졌다 해도 인간을 존중하지 않으면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지난 한미정상회담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강유정 대변인에 따르면, 샌델 교수는 “이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 임하는 모습을 보고 자존감 있고 존엄해 보였다”는 인상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샌델 교수는 이 대통령에게 '당신이 모르는 민주주의', '공정하다는 착각' 등 자신의 저서 두 권을 친필 메시지와 함께 전달했다. 각 책에는 “민주주의의 지속과 성숙을 기원한다”, “어려운 시기 공공선의 정치를 추구하길 기대한다”는 문구가 담겼다. 샌델 교수는 “‘당신이 모르는 민주주의’ 뒷부분을 최근 한국 민주주의에 영감받아 새로 썼다”고도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마이클 샌델 교수의 대화는 약 30분간 진행됐다. 앞서 이 대통령은 2021년 12월 20대 대선을 앞두고도 샌델 교수와 ‘공정’을 주제로 화상 대담을 가진 바 있다.
한편 정치권은 이번 접견이 민주주의와 평화, 정의 담론의 현주소를 재조명했다고 분석한다. 정부는 향후 평화 체제 구축과 사회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