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프리카 핵심광물 확보 전략적 중요”…정광용, 한국기업 진출 지원 확대 시사
정치

“아프리카 핵심광물 확보 전략적 중요”…정광용, 한국기업 진출 지원 확대 시사

권혁준 기자
입력

아프리카 외교를 두고 정광용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이 적극적인 전략 마련을 강조했다. 국회아프리카포럼 제99차 세미나가 18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면서, 한-아프리카 협력의 필요성을 두고 정치권과 정부의 시선이 교차했다.

 

정광용 국장은 “정권과 관계없이 아프리카 외교는 전략적 문제, 핵심광물, 국제무대 협력 등에서 갈수록 중요해진다”며 아프리카 대륙의 지정학적 가치와 풍부한 4차 산업 핵심광물 보유 현황을 짚었다. 또한 “아프리카 개발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한국 기업 진출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국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아프리카가 유럽과 중동을 잇는 지리적 이점은 물론, "아프리카를 '젊은 대륙'이라고 하는데, 중위 인구가 19세 정도이고, 2050년 아프리카 인구가 25억 명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며 시장 잠재력에 주목했다. 아프리카가 세계 광물의 약 30%를 보유하고, 코발트·망간 등 4차 산업에 필수적인 광물과 청년 인구의 결합이 한-아프리카 협력 의제를 확장할 필요성을 부각했다.

 

경제적으로도 눈에 띄는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 국장은 “지난해 세계 GDP 성장률 6% 이상 국가 20곳 중 절반 이상이 아프리카에 분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는 관세 90% 이상 철폐로 15억 명의 단일 시장, 3조4천억 달러 규모의 경제권이 될 잠재력이 있다며,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AfCFTA가 성공하면 제조업과 교역에서 아프리카 대륙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 내다봤다.

 

국제사회 내 아프리카의 위상과 영향력도 높아졌다. 정 국장은 "1국 1표의 국제 무대에서 아프리카 회원국이 54개로 아시아, 유럽을 앞선다"며, 실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도 아프리카 관련 의제가 전체 의제의 4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여야 의원들은 총출동해 협력 의지와 실질적 애로 해소를 주문했다. 조배숙 국민의힘 의원은 비자 지연 문제 등 민간 교류 활성화의 장애요인을 해소해달라고 외교부에 요청했다.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 등은 아프리카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특히 국내 중소기업 진출 및 실질적 교류를 당부했다.

 

정치는 물론, 글로벌 경쟁 구도 속 아프리카 외교 중요성도 거론됐다. 정광용 국장은 “미국, 중국, 일본, EU 등 주요국이 정상급 협의체로 아프리카 각국과 협력 확대에 나섰다”며, 일례로 미국이 최근 콩고민주공화국과 잠비아를 잇는 대규모 ‘로비토 회랑’ 인프라 사업에 나서며 중국을 견제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로비토 회랑 사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와 산업별 맞춤 지원 방안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 국장은 “한국은 1차부터 3차 산업, 첨단 분야까지 아프리카가 원하는 다양한 수준의 협력이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이날 국회에서는 한-아프리카 경제·외교 협력을 둘러싸고 적극적 역할론과 실질적 규제 개선 요구가 교차했다. 정부는 광물·인프라·ODA 등 양국 교류의 폭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광용#아프리카#4차산업핵심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