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관련주 급등”…미국 가상화폐 3법 통과에 투자 심리 자극
미국 하원이 가상화폐 3대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7월 18일 국내 증시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미 의회의 디지털 자산 제도화 움직임이 투자 심리를 크게 자극하며 더즌, 카카오페이, 넥써쓰, 아톤, 다날 등 주요 종목이 동반 상승했다.
이날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로 분류되는 더즌은 전 거래일 대비 8.52% 오른 5,860원에 거래를 마쳤고, 장중에는 한때 14.63% 급등한 6,190원을 기록했다. 카카오페이는 2.08%, 넥써쓰는 3.75%, 아톤은 2.73%, 다날은 2.58% 각각 오르면 전반적으로 테마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주가 반등의 배경에는 미국 하원이 이날 의결한 ‘지니어스 법안’(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 ‘클래러티 법안’(디지털 자산 규제 명확화), ‘CBDC 감시 국가 방지법안’(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발행 금지) 등 3법의 도입이 자리했다. 이번 3법이 미국 디지털 자산 시장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규제 불확실성 해소에 초점을 맞추면서 국내에서도 관련 산업의 성장 기대가 커졌다는 평가다.
김진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3건의 가상화폐 법안 모두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적 안정성 강화와 기관 참여 확대, 산업의 성장 촉진에 의미가 크다”면서 “암호화폐는 물론, 블록체인 인프라·플랫폼·ETF 발행사 등 산업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스테이블코인 테마주의 고점 기대감에는 경계 목소리도 나왔다. 김재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로 분류된 기업들은 높은 주가 상승과 함께 변동성이 커져 있다”며 “현 시점에서는 미래 산업 성장성뿐만 아니라 개별 기업의 실적과 이익 전망에 대한 구체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증권가 안팎에서는 미국발 가상화폐 제도화 기대감이 국내 투자 심리를 단기적으로 자극하고 있으나, 종목별 수혜의 편차와 실적 중심 투자 기준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 하원의 가상화폐 3법안 통과가 글로벌 디지털 자산시장에 제도적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개별 종목들의 실제 수익 개선 여부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향후 정책 및 시장 흐름은 글로벌 가상자산 제도 변화 속에 종목별 실적, 산업 전망에 따른 투자 전략이 동시에 요구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