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화상면접 도입”…SK하이닉스, 하반기 신입·석박사 대규모 채용
SK하이닉스가 2025년 하반기 세 자릿수 규모의 신입사원 공개채용에 나선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2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4년제 학사 이상 졸업예정자 및 기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서류 접수가 이뤄지며, 입사 시기는 내년 1~2월이다. 근무지는 이천, 분당, 청주, 서울 등 전국 주요 거점이다.
올해 채용에서 가장 주목받는 변화는 AI 기반의 화상 인터뷰 전형 ‘A! SK’ 신설이다. 기존 SKCT(SK Competency Test)와 더불어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되는 ‘A! SK’는 지원자의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직무이해도, 상황 대처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AI가 직무별 맞춤형 문제를 출제하고, 지원자는 녹화 영상을 온라인으로 제출해 실시간 답변을 요구받는 것이 특징이다.

서류 심사에 이어 SKCT와 A! SK 전형을 모두 통과한 지원자는 11월 말 대면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 여부가 결정된다. 모집 분야는 반도체 설계와 소자, 연구개발(R&D), 공정, 양산기술 등 전통적 핵심 직무를 두루 망라한다.
채용시장 전반에서 공격적인 인재 선발 기조가 감지되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올 상반기 국내 500대 기업 중 영업이익 1위를 기록했다. D램과 HBM 분야에서 삼성전자를 앞선 점유율을 달성하며,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인크루트 7월 조사)에 올랐다. 이에 따라 직원 1인당 성과급 1억 원 가능성까지 제기된 만큼, 이번 하반기 채용에도 수험생과 취업준비생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초격차 경쟁 환경과 AI 기반 채용 도입이 맞물리며 우수 인재 선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본다. 한 인사전문가는 “직무별 맞춤형 AI 화상전형 도입이 산업현장 적합인재를 조기에 가려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 역시 청년고용을 활성화한다는 기조하에 각종 고용 촉진 및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SK하이닉스의 공격적 채용이 다른 대기업 전체로 확산될지 여부도 관심거리다.
지난해 대기업들의 채용 일정 및 방식이 잦은 변동을 겪은 데 비해, 올 하반기에는 IT·반도체 업종이 실적 호조에 힘입어 추가 인력 확보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향후 경기 및 실적, 고용정책 변화 등에 맞춰 기업들의 인재 선발 전략이 유연하게 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