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유통공룡 국감 줄소환”…쿠팡·홈플러스 등 대형 플랫폼 경영진, 국회 집중 질타

강예은 기자
입력

유통산업을 둘러싼 정치권과 대기업 간 충돌이 정면으로 펼쳐졌다. 올해 국회 국정감사 일정이 본격 시작되면서 쿠팡, 홈플러스 등 유통업계 대형 플랫폼 경영진이 대거 증인 명단에 포함돼 정부와 정치권의 강도 높은 질의를 예고했다.

 

12일 유통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14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는 쿠팡의 박대준 대표이사와 김범석 쿠팡Inc 의장, 그리고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 조만호 무신사 대표, 이주철 W컨셉 대표 등이 잇따라 산자위 등 주요 상임위 증인으로 출석한다. 특히 산자위 국감에서는 온라인 플랫폼과 판매자 간 수수료 부과, 거래 공정성 문제, 그리고 노동문제 등 전방위적 쟁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쿠팡은 올해 국감에서 5개 상임위에 걸쳐 무려 4명의 경영진이 증인으로 소환됐다. 박대준 대표이사의 경우 산자·과방·농해수위 등 3개 상임위 일정을 동시에 소화해야 한다. 김범석 의장은 정무위에 나와 쿠팡의 대만 사업, 스포츠패스 요금, 플랫폼 불공정 구조와 관련된 질문에 직면한다. 주성원 커머스전략총괄은 과방위에서 ‘납치광고’ 논란, 정종철 쿠팡CFS 대표는 환노위에서 일용직 제도 개선,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는 온라인 플랫폼 불공정 거래 등에 대해 각각 신문받을 예정이다.

 

이는 최근 쿠팡이 대관 조직을 강화하는 한편, 전통시장과 지역 농가, 출판업계 상생 방안 등을 강조해온 행보에도 불구하고, ‘국감 증인 최다 소환’이라는 정치권 불신을 여실히 드러낸 상황이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의 김범석 대표 역시 정무위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배달앱의 불공정 운영, 독점 문제, 소상공인 부담 전가 등 각종 이슈에 대해 날 선 질의가 예고된다. 두 김범석 대표가 한 자리에서 맞붙을 가능성에 업계와 국회 모두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홈플러스도 이번 국감에서 정조준 대상이 됐다.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이사와 윤종하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정무위 공정위 국감에 소환됐다. 홈플러스 입점주와 전대채 피해자 대책위원장 등 참고인들이 함께 출석할 예정인 가운데,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의 공개 대면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김병주 회장은 이달 30일 환노위 종합국감에서도 홈플러스 통폐합 관련 노동자 처우 문제로 다시 질의 대상이 된다.

 

그 외에도 산자위에는 정용진 신세계 회장이 출석해 G마켓과 알리바바 알리익스프레스 합작법인 설립 과정에서의 소비자 정보 보호 여부에 대해 신문받는다. 롯데지주의 고정욱 사장은 저PBR 현황,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우롱차 농약 검출 건,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는 점포별 매출 할당과 직원 구매 강요 의혹 등으로 차례로 출석할 예정이다.

 

외식·프랜차이즈 업계도 국감 도마에 올랐다. 교촌치킨 운영사 교촌에프앤비의 송종화 대표이사는 순살치킨 중량 축소와 가맹점주 보복 제소 의혹, 명륜당의 이종근 대표는 불법 대부업 의혹, 하남돼지집 운영사 하남에프앤비의 장보환 대표는 가맹사업법 위반 혐의로 각각 증인 채택됐다. SPC삼립 도세호 대표, 한국맥도날드 김기원 대표,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 등도 각종 산업재해, 직장 내 괴롭힘, 축제 관련 논란 등으로 증인대에 서게 된다.

 

정치권은 이번 국감을 통해 유통 플랫폼 대기업의 공정거래 관행과 사회적 책임, 소상공인 보호와 노동문제 등 각종 쟁점에 대한 명확한 답변과 제도적 개선책을 촉구한다는 목표다. 업계 일각은 “경험치상 상임위별 질의가 격랑 양상으로 번질 가능성도 높다”는 우려를 내놨다.

 

한편 국회는 국정감사 기간 내내 유통업계 주요 경영진 출석을 바탕으로 불공정 거래, 갑질, 노동·소상공인 보호 책임 문제 등에 대한 전방위적 공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쿠팡#홈플러스#국정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