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이사에 현직 백악관 인사”…마이런 임명, 통화정책 독립성 논쟁 가열
현지시각 15일, 미국(USA) 연방준비제도(연준·Federal Reserve)에 트럼프 대통령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이 이사로 취임하며, 통화정책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사상 처음으로 현직 행정부 고위관료가 연준 이사를 겸하게 되면서 경제계와 금융시장에서 정부의 통화정책 개입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마이런 이사는 16∼17일 개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결정 투표권을 행사할 예정이다. 그의 임명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체제 개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뤄진 것으로, 기존 정부와 중앙은행 사이에 유지돼 온 ‘금단의 선’이 흐려졌다는 평가다. 마이런은 연준 이사 임기 4개월 동안 국가경제자문위원장직을 휴직한다고 밝혔으나, 백악관과 긴밀한 소통이 불가피해 ‘정책 독립성’ 훼손 논란이 불거졌다.

이번 인사는 마이런 이사가 과거 헤지펀드(소바넘) 운용 경험과 투자 실패,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책 밀착 행보 등으로 보수 진영의 ‘경제 브레인’으로 부상한 뒤 나온 것이다. 학계에서는 “마이런 이사가 ‘백악관에 남겠다’고 밝힌 점이 대통령 의지를 공개적으로 지지한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미국(USA) 금융시장과 투자자들은 마이런 이사의 금리 인하 찬반 입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는 과거 금리 인하에 부정적이었으나, 2025년 6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입장을 선회, 최근에는 인하 필요성에 동의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파월 연준 의장을 공개 압박하며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주문하고 있어, FOMC 내 결정을 둘러싼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마이런 이사의 임명으로 정책 결정이 정치적 압박에서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금리 결정 과정 자체가 정치 이슈화될 경우 변동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WSJ, CNBC 등 주요 외신들은 “마이런 이사의 연준 합류로 행정부의 통화정책 간섭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정치적 압력 강화가 연준의 독립성 훼손 우려로 이어질 것”이라며 경계했다.
전문가들은 행정부와 중앙은행 경계가 무너지는 구조적 변화가 미·중 패권경쟁 심화, 세계 금융시장 불안정과 맞물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번 조치가 향후 미국(USA)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과 국제 경제 질서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