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수사외압 ‘지시 녹취’ 논란”…박진희 56사단장 직무정지, 채상병 특검 수사 영향
정치

“수사외압 ‘지시 녹취’ 논란”…박진희 56사단장 직무정지, 채상병 특검 수사 영향

최동현 기자
입력

수사외압 의혹을 둘러싼 갈등이 군 수뇌부 인사에까지 번졌다. 채상병 사망 사건을 조사 중인 특검이 박진희 56사단장 소장의 직무정지 배경을 집중 추적하고 있다. 군 내부에선 지휘라인 책임론과 특검팀의 압박, 두 갈래로 격랑이 커지고 있다.

 

육군은 9월 5일 박진희 56사단장을 직무정지를 전제로 한 분리파견 인사 조치를 단행했다고 공지했다. 박 소장은 지난해 7월부터 8월 사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군사보좌관으로 근무하며, 채상병 사망 사건 관련 ‘수사외압’ 의혹 중심에 선 인물이다.

기록에 따르면 박 소장은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에게 “확실한 혐의자는 수사 의뢰, 지휘 책임 관련 인원은 징계로 하는 것도 검토해달라”고 직접 지시했다. 이는 사망 사건 연루자 축소를 유도하는 행동이라는 분석이 뒤따랐다. 최근 특검팀도 박 소장이 국방부조사본부에 “장관 지시라며 혐의자를 줄이라”고 강조하는 내용의 녹취 자료까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소장은 이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말 장성 인사에서 소장으로 진급해 육군 보병 56사단장에 부임했다. 그럼에도 수사외압 관련 의혹이 잇따르면서 특검의 수사 방침에도 중대한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지휘 및 감찰 책임이 있는 장군급 인사까지 조사범위가 확대될 경우, 군 기강 재정립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군 내부 일각에선 “지휘권 남용과 조직보호 논란이 맞물리면서 현장 혼란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는 입장도 감지되고 있다.

 

이날 군은 박진희 소장 인사 조치를 공식화하며 “특검 수사 절차가 신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전했다. 특검팀은 확보 녹취 등 증거를 토대로 박 소장 책임론 수위와 대상 확장 여부를 두고 본격 수사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진희#채상병#특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