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AI로 문제 푼다”…SK, 글로벌 빅테크와 초협력 선언
AI 인공지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으로 떠오른 가운데, SK가 글로벌 빅테크와 손잡고 컴퓨팅 파워 부족 해결에 나섰다.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AI의 문제는 AI로 푸는 시대”라며, 메모리반도체와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확충, AI 주도형 생산공정 최적화를 핵심 해법으로 제시했다. 업계는 이번 선언을 AI 수요-공급 불균형 시대, 동맹적 협업의 분기점으로 본다.
이날 최 회장은 AI가 각국 산업, 경제, 삶을 변화시키는 현실을 실감했다며, AI 수요 확장 기반으로 추론 컴퓨팅 활성화와 기업간거래(B2B) 시장 확대, 에이전트 서비스 대중화, 국가간 주권형 AI 경쟁을 꼽았다. 특히 “기존 공급 능력으로는 AI 컴퓨팅 수요를 따라잡기 어렵다”고 진단하고, SK하이닉스의 대규모 HBM 메모리 증설(2025년 청주M15X 본격 가동, 2027년 용인반도체클러스터)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SK는 단순 증산을 넘어, AI 자체를 메모리 생산·운영의 자동화(Smart Factory), 데이터센터 관리에 적용하는 자율화 전략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엔비디아와의 ‘AI 팩토리’ 협력, GPU·디지털트윈 기반 공장 구축 등 구체적 로드맵도 공개됐다. 업계에서 증명된 기술력에 더해, AI로 AI 문제를 최적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추구한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협업도 가속됐다. 행사에는 앤디 제시 아마존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 등 빅테크 수장이 영상 메시지로 참여, AI 인프라·데이터센터 협력성과와 추가 투자 의지를 밝혔다. SK-아마존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엔비디아와의 메모리 분야 연동 노력이 대표적이다. 시장에서는 AI 인프라, 고도화된 AI 에이전트 경쟁이 본격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서밋은 지난해보다 더 많은 3만5천명이 참가해, 스타트업·학계·글로벌기업까지 참여 스펙트럼이 대폭 확대됐다. AWS, 엔비디아, 슈나이더일렉트릭 등도 AI 데이터센터/팩토리 기술을 국내 시장에 직접 선보이며, 한국 IT·바이오 생태계에서 AI 협업 패러다임이 표준 모델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있다.
최 회장은 고객·파트너와의 경쟁 대신, 정부·빅테크·스타트업 등과의 ‘초협력’을 강조했다. SK 단독이 아닌 탄탄한 연합전략을 통해 최고 효율의 AI 솔루션을 구축하겠다는 비전이다. 전문가들은 “AI의 실질적 활용성과 공급망 안정화가 각국 산업 재편의 키”라며 “SK 전략이 AI 시장의 구조적 전환점이 될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전략이 실제 시장에서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