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대화 문 여전히 열려”…도널드 트럼프, 김여정 경고에도 북미 협상 의지 재확인
북미 비핵화 협상을 둘러싸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외교적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북미 대화 재개 여부를 두고 양측이 상반된 입장을 공개하며 정국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비핵화 대화에 여전히 열려 있다는 입장을 공식화하면서, 북미 관계가 중대한 기로에 섰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당국자는 로이터통신 등 외신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종식시키기 위해 김정은과 소통하는 데 여전히 열려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미국과 북한이 싱가포르, 하노이 등에서 정상회담을 열며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해왔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는 지금도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공식 담화를 통해 미국 측 입장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메시지를 내놓았다. 김여정 부부장은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고 평가하면서도, “비핵화를 목표로 한 협상은 미국의 일방적 희망”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 지향적으로 행동하면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며,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한 다른 대화의 길은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북한 모두 양국 정상의 개인적 우호관계에는 이견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구체적 비핵화 조건과 핵심 의제에서는 입장이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의 문을 닫지 않았다”며 대화 채널을 열어둔 반면, 북한은 핵 보유국 지위 인정과 미국의 태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정치권과 외교 전문가들은 북한의 완고한 입장이 계속되는 한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근의 양국 입장 표명은 북미 정상회담 재개 가능성에 불씨를 남기되, 향후 돌파구 마련은 북한의 내부 정책 변화와 외교적 유연성에 달려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날 북미 양측은 비핵화 논의 방향을 놓고 공식적으로 맞섰으며, 정치권 안팎에서는 미국 대선 및 북한의 대외전략에 따라 국면 전환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대화 의지를 거듭 천명하고 있어, 외교적 해빙의 조짐이 포착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