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1~2주 전 최루탄 현황 파악”…군인권센터,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이례적 동향 의혹 제기
비상계엄 논란이 정국을 강타한 가운데, 군인권센터가 육군 지상작전사령부의 ‘계엄 임박 최루탄 현황 조사’ 의혹을 제기했다. 지상작전사령부가 실제로 예하 부대 군사경찰을 상대로 시위 진압용 장비 현황을 파악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군의 정치적 개입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군인권센터는 18일,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군사경찰단이 지난해 11월 18일부터 22일 사이 예하 군단 군사경찰단과 사단 군사경찰대대에 유선으로 연락해 최루탄과 발사기 보유 현황을 파악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 시기는 12·3 비상계엄 선포를 약 1~2주 앞둔 시점이다.

지상작전사령부는 옛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한 부대로, 강원·경기도·인천 등 최전방과 대북 전선 방위를 맡고 있는 핵심 야전사령부로 꼽힌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군사경찰 조직을 상대로 최루탄과 발사기 현황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은 “조사 시점이 계엄 선포를 불과 한두 주 앞둔 시기”라며 “작전이나 훈련 목적이 아니라 시위 진압용 물품을 사전 파악·취합하려 했다는 것이 더 합리적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임 소장은 “기존 행정절차인 온나라시스템을 통한 공문 하달이 아니라, 유선 연락으로 조사를 진행한 것은 기록을 남기지 않으려 한 의도가 의심된다”며 정식 공문 없는 사전 준비 정황을 강조했다.
군인권센터는 이번 의혹과 관련해 내란 사건에 대한 수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군 인사를 잠정 중단하고, 강호필 지상작전사령관에 대한 강제수사를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해당 의혹에 대해 군 당국의 공식 해명이나 입장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비상계엄을 둘러싼 군 내부 준비 의혹이 시민사회와 정계에서 쟁점으로 급부상한 만큼, 향후 추가 조사 및 관련 수사 동향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