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단기 과열에 2.5% 급락”…가상화폐 시장 조정 국면 진입 우려
현지시각 7일, 미국(USA)의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전일 대비 2.47% 하락한 12만1,983달러에 마감됐다. 최근 사상 최고가 경신으로 뜨거웠던 가상자산 시장이 단기 강세에 제동이 걸리면서,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커진 모습이다. 단기 조정 신호가 뚜렷해지며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 사이에 추가 하락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날 거래에서 한때 12만2천달러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다. 직전일 코인베이스 기준 12만6,200달러의 사상 최고가에서 약 4천달러 가까이 밀렸다. 비트코인은 9월 말 저점(10만9천달러) 대비 16% 올랐고, 4분기 들어 연일 신기록을 썼으나 급격한 매도세에 상승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멈췄다. 시장에서는 파생상품과 상장지수펀드(ETF) 투자 열기, 현물 자금 유입이 과열 양상으로 번졌다는 분석이 이어졌다.

실제로 K33의 리서치 책임자 베틀 룬데는 “지난주 비트코인 유입 자금이 5월 기록을 넘어서며, 최근 파생상품과 ETF에 자금이 지나치게 몰렸다”고 밝혔다. 그는 “특정 촉매가 없는 상황에서 롱 포지션이 단기간 급증했다”며 단기 조정의 위험 신호로 해석했다.
이 같은 하락세는 비트코인 뿐 아니라 주요 알트코인에서도 나타났다. 이더리움은 4.23% 내린 4,502달러, 엑스알피(리플)는 4.40% 하락한 2.8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솔라나와 도지코인 역시 각각 4.77%, 6.91% 하락하는 등 동반 조정 흐름이 뚜렷해졌다. 시장에서는 “일시적 매도세와 변동성 확대에 따라 당분간 보수적 접근이 필요한 국면”이라는 분석이 많다.
글로벌 주요 매체들도 ‘투자자 과열·예상 밖 급등세에 따른 되돌림’에 주목했다. 블룸버그는 “ETF 거래와 기관 자금 유입이 강세장을 촉발했으나,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가상자산 시장 조정이 투자심리 냉각과 함께 비트코인 상승장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파생상품 중심의 투기적 포지션 확대, 규제 환경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투자자들의 신중한 대응이 요구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국제사회는 가상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정책 대응의 파급효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