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업체 상장 본격화”…YMTC, 기술 자립 자금조달에 최대 60조 원 기대
중국 반도체 업체들이 올해 하반기부터 대규모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며 기술 자립을 위한 자금 조달에 적극 나서고 있다. 23일 중국 IT 전문매체 콰이커지는 YMTC, 메타엑스 등 유력 업체들의 상장 절차가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반도체 시장과 국내 IT 경쟁구도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수출 통제와 내부 기술력 강화 경쟁이 맞물린 결과로, 중국 반도체 산업의 독립성과 시장점유율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콰이커지와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플래시메모리 제조사인 YMTC의 예상 기업가치는 1,600억~3,000억 위안(약 32조~6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9월 YMTC는 국유, 금융, 민간 자본 등 다양한 투자자를 유치하며 주주 구조 개혁을 단행했고, 이 과정에서 기업공개 준비 작업이 가속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인 기업가치 목표는 2,000억~3,000억 위안(40조~60조 원)으로 설정됐으며, 상장은 상하이 커촹반이나 차이넥스트에서 연말 또는 내년 초쯤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상장 대열에는 GPU 기업 메타엑스와 메모리 반도체사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도 포함됐다. 메타엑스는 커촹반 상장이 임박했으며, 지난해 중국 GPU 시장점유율이 1%에 불과했지만 최근 미국 엔비디아 H20 칩 판매 금지 등의 영향으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는 CXMT 역시 내년 1분기 이내 상장을 추진하며, 상장 시 기업가치가 최대 3,000억 위안(60조 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이처럼 중국 대형 반도체 기업들이 인수합병이나 자체 설비 투자에 활용할 자본 대거 확보에 나서는 데는 미국 정부의 대중 반도체 수출규제 강화도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최근 미국은 2020년과 2023년 각각 SMIC와 YMTC를 수출 통제 대상에 올린 데 이어, CXMT에 대해 블랙리스트 추가 방안 검토에 착수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중국으로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출 통제도 한층 강화됐다.
시장에서는 이번 IPO 러시가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자금력 확충과 첨단 기술 확보로 이어지며, 국내외 반도체 산업 지형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콰이커지는 YMTC와 CXMT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던 HBM 분야에도 적극 진출할 전망이라며, 향후 중국 내 메모리 칩 시장점유율 확대와 산업 독립성 제고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을 제기했다.
다만 미국 상무부 등은 CXMT를 포함한 추가 규제 여부에 대해 여전히 검토 중이지만, 아직 최종 발표로 이어지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이 지속되면서 중국 반도체사의 상장과 투자 확대가 불확실성 해소보다는 기술·자본 경쟁 심화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중국 빅3 메모리 기업들의 재무여력과 기술투자 성과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시장 재편 가능성에도 시선이 쏠린다. 시장에서는 내년 주요 기업 상장 이후 HBM 공급 경쟁, 미국 등 서방의 추가 제재 움직임 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