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허리디스크, 젊은 직장인 급증”…앉은 근무 환경이 척추 건강 위협
IT/바이오

“허리디스크, 젊은 직장인 급증”…앉은 근무 환경이 척추 건강 위협

김서준 기자
입력

장시간 앉아 있는 근무 환경이 허리디스크 등 척추질환 위험을 높이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허리디스크 환자 중 약 16%가 2030세대인 것으로 나타나, ‘중·장년층 질환’이라는 통념을 깼다. 디스크 손상은 한 번 발생하면 회복이 어려워, 젊은 직장인도 척추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도 “디지털 노동 환경에서 허리 건강 관리가 IT·바이오 영역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한다.

 

대표적인 척추 질환인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의 섬유륜 손상으로 중심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해 통증,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요추 4~5번 등 하부 척추에서 흔히 발생하며, 초기에는 단순 근육통과 구분이 어려워 방치되는 사례가 많다. 허리디스크는 다리 저림, 당김, 감각 이상이나 심한 경우 대소변 장애 등 복합적 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증상이 지속될 경우 영상진단 등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허리디스크는 노화 외에도 긴 시간 잘못된 자세로 앉아있거나 운동 부족, 스마트폰 사용 등이 유발 요인이다. 특히 젊은 직장인에게 흔한 ‘구부정한 자세’가 디스크 하중을 가중한다. 손인석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 잘못된 사무실 자세가 젊은 척추 손상의 주요 원인”이라며 바른 자세 유지와 정기 스트레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비수술적 치료법이 확대되며, 초기 허리디스크 환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으로 수술을 줄이고 있다. 예를 들어 신경 주위 염증을 경감하는 ‘신경성형술’이나 ‘풍선 성형술’ 등 시술도 적용된다. 다만 추간판 손상이 심해 신경마비, 통증이 극심할 땐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 등 최소절개 수술법이 진행되며, 고령이나 만성질환 환자도 부담이 적다.

 

허리디스크 예방을 위해서는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 바닥에 앉기, 소파에 기대기 등을 피하고, 1시간마다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등산 하산, 축구 등 허리에 충격이 큰 운동은 주의를 필요로 하며, 평소 근력 강화 운동이 척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산업계는 만성 허리질환의 관리가 생산성, 삶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IT·디지털 중심 근무 환경 변화에 맞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 발전과 함께 건강관리 솔루션, 예방 의료 서비스가 기업 복지나 산업 안전에서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는 추세다. 척추 질환 예방과 조기 치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지금, 개인의 노력과 함께 시스템적 관리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허리디스크#강동경희대학교병원#신경성형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