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20초 걸린 아이폰 구조 위치 전송”…제도 공백에 현장 혼선

송우진 기자
입력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구조가 생명을 좌우하는 가운데, 아이폰의 위치정보 전달 속도가 안드로이드폰에 비해 10배가량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이폰은 경찰·소방 등 제3자의 긴급 구조 요청에도 실시간 위치 제공이 제한되고 있어, 현장의 초동 대응에 혼선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기기 보안과 개인정보 정책이 신속한 구조 지원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로 주목한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의원이 공개한 방송통신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아이폰은 긴급통화 후 5분 내에만 일정 조건하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방식 역시 기지국·GPS·와이파이 신호를 자체적으로 결합한 복합 측위(Hybridized Emergency Location, HELO)만 허용된다. 올 한 해 실시된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시험 결과에 따르면, 아이폰의 구조 위치 전송 응답시간은 평균 20초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안드로이드폰이 보여준 기지국 1.3초, GPS 1.7초, 와이파이 2.4초 대비 현격히 긴 수치다.

애플은 “더 많은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분석해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시간이 추가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하지만 업계와 현장 구조기관에서는 이동 중인 피해자 구조 시 ‘20초’의 시간 지연이 경찰·소방의 신속한 초동 대응을 저해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최근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서울 관악구 흉기 사건에서도 최초 현장 출동 후 20분 만에 위치를 확인하는 등 현장 대응력 한계가 드러난 바 있다.

 

이 같은 정책은 글로벌 단말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기조 속에서 애플의 제3자 보호조치 요청 거부로 연결된다. 실제로 미국·유럽 등 주요국에서도 위치정보 제공 범위와 실시간성, 사고 대응 효율성 간 균형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이다.

 

정부와 국회에서는 제도 개선 필요성이 강조된다. 김장겸 의원은 “국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긴급구조기관에 위치정보가 신속히 제공될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며, “특히 스스로 구조를 요청하지 못할 때 제3자 요청만으로도 효과적인 위치정보 확보 방안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단말기 보안 정책과 현지 법제도의 충돌 지점이 앞으로도 주요쟁점이 될 것으로 본다. 산업계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기술 혁신과 개인정보 보호, 국민 안전 간 균형을 새롭게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이폰#긴급구조#안드로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