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후보자 거취 판단, 주말께 결정”…우상호, 대통령실 내부 기류 선 긋기
장관 후보자 거취를 둘러싸고 대통령실과 정치권이 또다시 충돌 지점에 섰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17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 이후 논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며, 인사 처리 과정의 불투명성이 정국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상호 수석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대통령실 내에 특정 기류가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 언론에서 대통령실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후보자 거취에 대한 내부 ‘낙마 기류’를 언급한 데 대해 선을 그은 것이다. 그는 “대통령실의 기류가 바뀌었다든가, 여전하다든가 하는 얘기는 정확한 접근은 아니다. 어떤 판단에 대한 기류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 수석은 인사 문제에 대한 최종 판단 시점과 관련, “대통령실은 다른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가 진행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청문회가 마무리되는 금요일(18일) 이후 대통령께 전체적인 상황을 종합 보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종합 보고 이후 대통령께서 인사권자로서 일정한 판단을 하실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선 이르면 오는 주말께 대통령의 직접적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관측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야권과 시민사회에선 연이은 의혹 제기와 검증 미비를 근거로, 즉각적 거취 결정과 책임 있는 인사검증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 대통령실은 신중한 입장 유지로 맞서며, 여론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우상호 수석 역시 “이 대통령은 다양한 통로를 통해 여론을 청취하고 있으며, 청문회 과정에서 나온 여러 쟁점에 대해 일일 보고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현재 상태에선 대통령실 내 어떤 관계자가 한 발언이라도 공식 입장으로 보기 어렵다”며, 개별적 진단에 무게를 뒀다.
장관 후보자 인사를 둘러싼 논란은 정치권 내 파장을 이어가고 있다. 여야는 후보자 검증 과정과 대통령실의 태도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최종 판단이 국정 운영의 신뢰 확보, 인사 시스템 개혁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금요일 청문회 종료 이후 인사 관련 종합 보고를 거쳐, 신속한 판단에 나설 계획이다. 정치권은 대통령실의 최종 입장이 표명될 때까지 긴장 상태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