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이폰17 최대 51만7,500원 지원”…이통3사, 공시지원금 확대+99만 원대 실구매가
경제

“아이폰17 최대 51만7,500원 지원”…이통3사, 공시지원금 확대+99만 원대 실구매가

권하영 기자
입력

애플의 신형 아이폰17이 국내에서 99만1,000원까지 실구매가가 낮아질 전망이다. 1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아이폰17 시리즈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45만 원까지 제공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아이폰17 프로, 에어 모델에 공시지원금 45만 원과 추가지원금 6만7,500원을 책정해, 최대 51만7,500원까지 지원 혜택을 확대했다.

 

일반 모델과 프로맥스의 경우, 통신사별 공시지원금 규모가 다소 다르다. SK텔레콤은 최대 26만 원, KT 25만 원, LG유플러스는 23만 원 수준이며 여기에 추가지원금 15%를 더해 SK텔레콤 29만9,000원, KT 28만7,500원, LG유플러스 26만4,500원의 총 지원금이 책정됐다.

아이폰17프로(출처=애플)
아이폰17프로(출처=애플)

국내 출고가는 256GB 기준 129만 원으로, 최대 지원금을 모두 적용하면 아이폰17 실구매가는 99만1,000원까지 낮아진다. 유통점에서 자체적으로 추가 제공하는 보조금까지 고려할 경우, 소비자 부담은 더 줄어들 수 있다.

 

이통3사는 현재 아이폰17 시리즈 사전예약을 접수 중이며 공식 출시는 19일로 예정돼 있다. 업계에서는 지원금 확대로 소비자들의 초기 구매 부담이 완화되며, 신제품 교체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이폰17의 공격적인 지원금 정책이 통신시장 점유율 경쟁 심화와 연말 소비심리 촉진에 일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유통구조개선법상 지원금 규제 완화 이후에도 지나친 보조금 경쟁이 반복될 경우 시장 왜곡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 당국 역시 단말기 가격 및 이동통신 지원금 구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예고한 상태다. 지난해 동기 기준 전작 모델과 비교해도 지원금 상한이 높게 책정되며 단말 실구매가 자체가 100만 원 선 이하로 진입한 사례는 1년여 만에 처음이다.

 

향후 아이폰17 시리즈의 실제 판매량과 시장 경쟁 구도는 출시 직후 공개되는 최종 지원금, 주요 유통채널별 할인 혜택 등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이폰17#통신3사#공시지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