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모빌리티 신도시 청사진”…광주시, 산학관 협력 본격화→국가 혁신동력 모색
자동차

“AI 모빌리티 신도시 청사진”…광주시, 산학관 협력 본격화→국가 혁신동력 모색

이도윤 기자
입력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가 결합된 신도시 조성을 위한 구체적 비전과 전략을 공식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산업의 향후 새로운 동력 창출을 향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17일 국회에서 열린 ‘AI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 정책토론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 연구기관 및 주요 기업 관계자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해 산학관이 총망라된 협력 구도의 시동을 걸었다.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한 광주연구원, 정책 전문가들은 AI 기반 미래차 산업 클러스터의 국가적 시범 도시로 광주를 육성할 전략적 구상을 집중 논의했다.

 

정부가 제시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와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 혁신클러스터’ 등 국정과제 채택을 계기로 기획된 이번 토론회에서는 규제프리존 메가샌드박스, 완전자율주행 실증 인프라, 호남권 모빌리티 산업 확장, RE100 산단 구축, 신산업선 노선 신설 등 혁신적 정책 로드맵이 제시됐다. 강기정 시장은 “국내 제2의 자동차도시인 광주가 AI와 모빌리티를 결합해 국가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실증 인프라 중심의 전략은 데이터센터와 인재, 기업의 ‘삼각축’을 기반으로, AI 산업 생태계 조기 안착과 미래차 기술 실증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됐다.

AI 모빌리티 신도시 청사진
AI 모빌리티 신도시 청사진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기관의 고위 관계자들은 광주의 자율주행 AI 클러스터 조성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AI 인프라와 실증 환경이 집약된 광주는 미래 자율주행 국가전략의 최적지”라고 강조했고, 박동일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 역시 광주의 완성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생태계가 미래형 자동차 산업의 든든한 기반임을 평가했다. 진종욱 한국자동차연구원장은 AI 인프라 확장과 실증정책 ‘순환 사이클’ 마련이 산업 경쟁력의 핵심임을 재차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혁신 생태계 조성 성공 여부가 국가 자동차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장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시#ai모빌리티#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