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통한 마약 밀반입 급증”…동해해경청, 관계기관 합동 대응 세미나
마약 밀수와 불법 입국을 둘러싼 안보 위협과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의 대응 전략이 맞붙었다. 최근 동해안 일대에서 대량 마약이 적발되면서 해상을 통한 국제범죄 차단이 정부 차원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19일 강원도 강릉시 씨마크호텔에서 해양에서의 마약 밀수·밀입국·안보 위협 대응 역량 강화를 주제로 관계기관 합동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에는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을 비롯해 국가정보원, 출입국 당국, 세관, 육군, 해군 등 관계 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국제범죄 위협 실태와 국내 마약범죄 동향이 공유됐고, 국내 최대 규모로 꼽히는 코카인 밀반입 사건 수사 사례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참가자들은 전 세계 해양 마약 밀반입 트렌드를 분석하면서 국내 해상 경계 태세와 수사 체계의 보완 방향도 함께 모색했다.
동해지방해양경찰청 관할 해역에서는 올해 4월 2일 강원도 강릉시 옥계항에서 코카인 1690킬로그램이 은닉된 사건이 적발됐고, 이어 경상북도 포항 지역 해안가에서 케타민이 발견되는 등 해상을 통한 마약류 밀반입 사례가 잇따랐다. 당국은 이러한 정황을 토대로 동해안이 국제 마약조직의 새로운 경유지나 투하시험 지역으로 활용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 화물 물동량의 90퍼센트 이상이 선박을 통해 유입되는 현실도 경계심을 키우는 배경이다. 단 한 차례의 대량 마약류 밀반입만으로도 국민 보건 안전과 치안 질서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해상 관문에서의 선제적 차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성종 동해지방해양경찰청장은 세미나에서 최근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마약 범죄는 더욱 지능화되고 조직화하며, 그 활동 무대 역시 광범위하게 확대되는 상황에서 마약 등의 안보 범죄는 그 어느 한 기관만의 일이 아니라 여러 부처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업무 협력 체계를 구축해 마약·밀입국 등 안보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 기관 간 정보 공유와 합동 대응 체계가 강화되면 향후 국회 차원의 제도 정비 논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해양을 통한 마약 밀수·불법 입국 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는 가운데, 정치권과 정부는 제도 개선과 예산 지원 방향을 놓고 추가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