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금지 제품 대거 삭제”…미국, 중국산 전자제품 규제 강화에 온라인 유통 차단
현지시각 10일, 미국(USA)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중국 전자제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미국 내 대형 온라인 소매업체들이 화웨이(Huawei), ZTE 등 중국 기업의 전자제품 수백만 개를 일제히 판매 목록에서 삭제했다. 이번 조치는 국가 안보 우려가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중국산 전자기기의 판매 중단 물결이 미국 전역의 온라인 유통 시장에 번지고 있다.
브렌던 카 FCC 위원장은 이날 “주요 온라인 소매 웹사이트에서 판매 금지 목록에 포함됐거나 FCC 승인을 받지 않은 중국 전자제품이 대거 퇴출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퇴출 대상에는 화웨이와 ZTE가 제조한 보안 카메라, 휴대전화 등 소비자와 산업용의 핵심 장비들이 두루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당국의 이러한 정책은 2021년부터 화웨이, ZTE를 ‘커버드 리스트(covered list)’에 올리며 시작됐다. 당시부터 미국 내 사업자들은 연방 지원금으로 이들 기업의 장비나 서비스 구매가 제한됐다. 2022년 11월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해당 업체들의 통신장비 미국 내 판매를 전면 금지했고, 사실상 중국 대형 통신기업들의 시장 진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했다.
미국 정부와 주요 기관은 지속적으로 국가 안보 관점에서 전자제품과 통신장비의 수입 통제책을 강화하고 있다. FCC는 이번 달 중에도 중국산 통신장비에 대한 추가 규제 여부를 표결에 부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웨이, ZTE 외에도 기타 중국 제조사의 전자기기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과 중국 간 공급망 재편, 기술 안보 경쟁 구도의 연장선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 정부의 압박으로 미국 온라인 시장에서 중국산 전자제품 점유율이 현저히 줄고, 관련 유통업체는 제품 라인업 조정 등 사업 전략 변화를 모색해야 할 상황이다. 주요 통신·전자장비 공급업체의 매출 변동, 미국 내 기술 기업의 경쟁력 강화 등이 주식 시장과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등 현지 언론은 “이번 규제 강화가 양국 간 기술·안보 갈등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미국이 자국 내 통신·정보 인프라에서 중국 영향력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당분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국의 전자·통신 분야에서 대중국 수입 규제가 한층 확산할 수 있고, 양국 간 기술 공급망의 분리(디커플링)가 완전한 글로벌 추세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한다. 국제사회는 미국 정부와 FCC의 후속 조치 및 온라인 유통 시장의 대응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